[새해 경제 5대 리스크] (4) 중국 성장률 1%P 하락하면 한국의 對中 수출 2% 감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4) 中 고성장 신화 막 내리나 … 中 긴축과 한국 경제
합섬원료ㆍ디스플레이 등 타격 … 소비재 수입 많아 물가도 불안
합섬원료ㆍ디스플레이 등 타격 … 소비재 수입 많아 물가도 불안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자 최대 수출국이다.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한 · 중 교역액(수출액+수입액)은 1648억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교역액(7837억달러)의 21%에 달했다. 미국(10.2%) 일본(10.4%)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 비중도 24.9%에 달한다.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의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가 올해 6%를 넘어서는 성장세를 보인 것은 연 10% 내외의 고성장을 기록한 중국이 있었기 때문이다. 올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작년보다 36% 늘어 수출 호황(전체 증가율 29.7%)을 이끌었다. 중국에서 벌어들인 무역흑자만 391억달러로 한국의 전체 무역흑자(347억달러)를 능가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거시경제 분석 모델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할 때 한국의 경제성장률과 수출은 각각 0.38%포인트 감소한다. 특히 대중국 수출은 감소폭이 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 측면에서도 중국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국내에 수입되는 소비재 가운데 중국산 비중이 34%에 달한다. 중국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면 한국의 물가 불안 가능성도 커진다.
문제는 중국의 긴축이 얼마나 세게 이뤄지느냐다.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8~9%대를 유지하는 연착륙 수준이라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치겠지만 성장률이 8% 밑으로 떨어지면 얘기가 달라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고강도 긴축이 이뤄지면 한국도 성장률과 수출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합섬원료(83%),석유화학 중간원료(73%),디스플레이 제조장비(62%),배터리(58%),평판 디스플레이(55%)는 수출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품목은 중국에서 조립돼 선진국에 재수출되는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중국의 긴축으로 직 · 간접적인 타격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대다수 전문가들은 중국이 극단적 긴축에 나설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지만수 대외경제연구원 중국팀장은 "최근 중국의 물가 상승은 소비나 투자 과열 때문이 아니라 농산품이나 수입품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경기를 죽이면서까지 극단적인 긴축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선진국의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가 올해 6%를 넘어서는 성장세를 보인 것은 연 10% 내외의 고성장을 기록한 중국이 있었기 때문이다. 올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작년보다 36% 늘어 수출 호황(전체 증가율 29.7%)을 이끌었다. 중국에서 벌어들인 무역흑자만 391억달러로 한국의 전체 무역흑자(347억달러)를 능가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거시경제 분석 모델에 따르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할 때 한국의 경제성장률과 수출은 각각 0.38%포인트 감소한다. 특히 대중국 수출은 감소폭이 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 측면에서도 중국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국내에 수입되는 소비재 가운데 중국산 비중이 34%에 달한다. 중국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되면 한국의 물가 불안 가능성도 커진다.
문제는 중국의 긴축이 얼마나 세게 이뤄지느냐다. 내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8~9%대를 유지하는 연착륙 수준이라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치겠지만 성장률이 8% 밑으로 떨어지면 얘기가 달라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고강도 긴축이 이뤄지면 한국도 성장률과 수출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산업연구원은 합섬원료(83%),석유화학 중간원료(73%),디스플레이 제조장비(62%),배터리(58%),평판 디스플레이(55%)는 수출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품목은 중국에서 조립돼 선진국에 재수출되는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중국의 긴축으로 직 · 간접적인 타격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대다수 전문가들은 중국이 극단적 긴축에 나설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지만수 대외경제연구원 중국팀장은 "최근 중국의 물가 상승은 소비나 투자 과열 때문이 아니라 농산품이나 수입품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경기를 죽이면서까지 극단적인 긴축에 나설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