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동남아서 유입 가능성 … 공항 방역시스템 강화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태욱 강원대 교수
한태욱 강원대 수의학과 교수는 22일 "이번 구제역 감염경로는 중국과 동남아 등을 다녀온 사람에 의한 국외 유입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외국 방문자에 대한 철저한 검역으로 국외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지역 간 방역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구제역은 전파력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인 데다 접촉없이도 공기 중 전파가 이뤄지는 등 감염경로가 다양하다"면서 "공항 등 국외 출입로에 방역시스템을 갖춰야 원천 차단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살처분한 가축의 사체로 인한 구제역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생석회와 같은 강알칼리성 소독제나 강산성 소독제를 사용해 확실한 방역처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유한상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도 "사람을 통해 감염됐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유 교수는 "평야 등 지형적인 장애물이 없는 지역에서는 바람을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된 사례도 있지만,산악지대가 많은 강원도 특성상 공기 중 전파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강원도는 현재 감염경로를 추적하고 있지만,평창은 지난 13일 수의사가 다녀간 것이 고작이고 화천 역시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어 방역 당국이 역학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제역의 치사율은 어린 동물에서도 10% 내외에 불과해 낮은 편이지만,전파력이 강하며 한번 감염된 동물들은 회복된 뒤에도 성장속도가 느려지는 등 생산성이 떨어진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그는 이어 "살처분한 가축의 사체로 인한 구제역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생석회와 같은 강알칼리성 소독제나 강산성 소독제를 사용해 확실한 방역처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유한상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도 "사람을 통해 감염됐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유 교수는 "평야 등 지형적인 장애물이 없는 지역에서는 바람을 통해 구제역 바이러스가 전파된 사례도 있지만,산악지대가 많은 강원도 특성상 공기 중 전파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강원도는 현재 감염경로를 추적하고 있지만,평창은 지난 13일 수의사가 다녀간 것이 고작이고 화천 역시 별다른 특이사항이 없어 방역 당국이 역학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구제역의 치사율은 어린 동물에서도 10% 내외에 불과해 낮은 편이지만,전파력이 강하며 한번 감염된 동물들은 회복된 뒤에도 성장속도가 느려지는 등 생산성이 떨어진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