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들은 '표'가 가장 중요하다. 더 많은 표를 얻기 위해 유권자들에게 선심성 공약을 쏟아낸다.

실제로 정치권에서는 19대 총선(2012년 4월)을 14개월 앞둔 벌써부터 의원들의 표심잡기 경쟁이 치열하다. 1주일에 절반 이상을 지역구에 머물며 인사를 다니고 지역 현안 챙기기에 부산하다.

국회 의원회관에선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여당인 한나라당 의원 얼굴을 찾아보기 힘들다. 주중에도 지역구를 챙기러 나가기 때문이다. 지난 5~6월까지만 해도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 정도만 지역구에 신경을 쓰고 나머지 일정은 국회 중심으로 맞춰놓았던 것과는 확연히 달라진 분위기다. 지난 6 · 2 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뒤 생겨난 새로운 풍속도다.

한 초선 의원은 "2월 임시국회 때까지 입법 활동보다는 지역구 주민들에게 인사하러 다니는 일에 집중하려 한다"며 "총선이 가까워져 지역구를 챙기는 모습을 보이면 오히려 민심이 돌아설 수 있기 때문에 지금부터 재선을 위한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나 청와대와 '선긋기'에 나서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서울지역 의원들 사이에선 '차기 총선에서 40%만 승리해도 다행'이라거나 '강남 · 서초 · 송파도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6 · 2 지방선거 이후 구청장 자리가 야당으로 대부분 넘어가면서 표밭관리가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들은 차기 총선에 출마할 지역구 찾기에 혈안이다. 자신이 염두에 두고 있는 지역구 의원을 겨냥해 '당 지도부가 그쪽 지역에 물갈이를 할 공산이 크다'거나 '이미 다른 사람들을 공천하는 것으로 물밑 작업이 진행됐다더라' 등의 소문을 내 의원들 간 관계가 서먹해지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현진권 아주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중에게 영합하는 인기 위주의 정책을 내놓는 것은 선거를 치르는 정치인들에게는 나름대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라며 "포퓰리즘이 구조화되지 않도록 재정건전화 장치를 법으로 두거나,국민의 포퓰리즘적 수요를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