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안데스산맥 예수像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칠레·아르헨이 세운 평화 상징
성탄절 맞아 화합에 힘 모으길
성탄절 맞아 화합에 힘 모으길
천안함,연평도 사건 등으로 인해 올해 남북 관계는 최대의 충돌 위기를 맞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치권은 국회 폭력 사태를 빚으며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더구나 진보와 보수,지역과 계층,가진 자와 갖지 못한 자,세대 간 등 온갖 분야에서 얽히고설킨 이해관계로 갈등을 겪고 있다. 과연 우리에게 진정한 평화의 날은 언제 올 것인가.
미국 몬태나주 빌링스에 체스터 장군을 기리는 전쟁 기념관이 있다. 그는 인디언을 정복한 전설적인 장군이었다. 그런데 그 빌링스라는 곳에서 그가 인디언 지역을 점령하고 그들을 몰아내려다가 그만 인디언의 작전에 걸려들어 부대원과 함께 전멸당했다. 그때까지 백인들의 정책은 인디언을 다 죽이고 몰아내는 정책이었는데 그 이후부터 백인들은 이렇게 생각을 바꾸게 됐다. '아,인디언을 죽이고 쫓아내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야겠다. 이제는 인디언을 내쫓지 말고 함께 평화롭게 지내야겠다. ' 그때부터 인디언 정책이 바뀌어 미국 전역에 인디언 보호구역이 생겼다. 체스터 장군의 전쟁 기념관에는 이런 문구가 쓰여 있다. "화목이 힘이다. "
이런 사건도 있었다. 1954년 인도차이나 문제로 강대국의 총리들이 모였다. 그 때 저우언라이(周恩來)가 먼저 도착하고 미국의 국무장관이었던 덜레스 장관이 제일 늦게 도착했다. 덜레스는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 그래서 저우언라이가 반갑게 악수를 청하는데도 거절해 버렸다. 그 후부터 저우언라이는 20년 동안 중국을 다스리면서 미국과 원수가 됐고,마침내 베트남 전쟁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역사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단절은 저우언라이의 호의를 받을 줄 몰랐던 미국의 덜레스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그 때 덜레스가 조금만 따뜻하게 악수를 받아주고 립서비스를 해 주었다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베트남 전쟁으로 미국은 막대한 피해와 국가적 손실을 당해야만 했다. 그만큼 반목과 갈등이 아닌 평화의 길로 가는 것은 중요하다.
칠레와 아르헨티나는 긴 안데스산맥을 경계로 해서 국경지대가 펼쳐져 있다. 그래서 포클랜드 전쟁 이후에 크고 작은 국경분쟁으로 전쟁이 일어나려는 위기를 맞았다. 칠레는 작은 나라이지만 대동단결해서 온 국민이 자존심을 걸고 맞서 싸우려 했고 아르헨티나는 큰 나라이기 때문에 칠레를 공격하려고 했다. 그런데 양국의 교회 지도자들이 모여 "전쟁이 일어나면 칠레는 칠레대로 망하고 아르헨티나는 아르헨티나대로 망한다"고 눈물로 호소하며 설득했다.
그 결과 정치지도자들이 "전쟁을 하지 말고 평화의 길로 가자"고 마음을 돌렸다. 서로를 겨누고 있던 대포를 녹여 1904년 칠레와 아르헨티나 접경 안데스 산맥 위에 예수의 동상과 십자가를 크게 만들어 세웠다. 그 동상을 보고 양국의 군인과 국민들이 전쟁을 하지 않게 됐고 그 후로도 매년 7월이면 양국의 군사 지도자들이 모여 평화기도회를 연다는 것이다. 이 얼마나 위대한 평화의 역사인가.
그렇다. 평화야말로 가장 위대한 힘이다. 우리 민족만큼 평화가 절실한 나라가 있을까. 이제 남북도 자존심 싸움과 대립을 할 것이 아니라 아기 예수에게 평화의 길을 물어야 할 때다. 온 국민이 종교와 이념을 초월해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고 화합을 이루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비록 남북의 정부끼리는 대립하더라도 종교와 민간 차원의 교류와 협력까지 중단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우리 민족이 사는 길이다. 21세기,세계적 선진 대국으로 비상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오늘은 아기 예수가 오신 성탄절이다. 얼어붙은 조국의 대지 위에 평화의 심포니를 울리자.2000년 전 베들레헴의 말구유에 오신 아기 예수에게 다시 평화의 길을 묻자.
소강석 < 새에덴교회 담임목사·시인 >
미국 몬태나주 빌링스에 체스터 장군을 기리는 전쟁 기념관이 있다. 그는 인디언을 정복한 전설적인 장군이었다. 그런데 그 빌링스라는 곳에서 그가 인디언 지역을 점령하고 그들을 몰아내려다가 그만 인디언의 작전에 걸려들어 부대원과 함께 전멸당했다. 그때까지 백인들의 정책은 인디언을 다 죽이고 몰아내는 정책이었는데 그 이후부터 백인들은 이렇게 생각을 바꾸게 됐다. '아,인디언을 죽이고 쫓아내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야겠다. 이제는 인디언을 내쫓지 말고 함께 평화롭게 지내야겠다. ' 그때부터 인디언 정책이 바뀌어 미국 전역에 인디언 보호구역이 생겼다. 체스터 장군의 전쟁 기념관에는 이런 문구가 쓰여 있다. "화목이 힘이다. "
이런 사건도 있었다. 1954년 인도차이나 문제로 강대국의 총리들이 모였다. 그 때 저우언라이(周恩來)가 먼저 도착하고 미국의 국무장관이었던 덜레스 장관이 제일 늦게 도착했다. 덜레스는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 그래서 저우언라이가 반갑게 악수를 청하는데도 거절해 버렸다. 그 후부터 저우언라이는 20년 동안 중국을 다스리면서 미국과 원수가 됐고,마침내 베트남 전쟁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역사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단절은 저우언라이의 호의를 받을 줄 몰랐던 미국의 덜레스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그 때 덜레스가 조금만 따뜻하게 악수를 받아주고 립서비스를 해 주었다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베트남 전쟁으로 미국은 막대한 피해와 국가적 손실을 당해야만 했다. 그만큼 반목과 갈등이 아닌 평화의 길로 가는 것은 중요하다.
칠레와 아르헨티나는 긴 안데스산맥을 경계로 해서 국경지대가 펼쳐져 있다. 그래서 포클랜드 전쟁 이후에 크고 작은 국경분쟁으로 전쟁이 일어나려는 위기를 맞았다. 칠레는 작은 나라이지만 대동단결해서 온 국민이 자존심을 걸고 맞서 싸우려 했고 아르헨티나는 큰 나라이기 때문에 칠레를 공격하려고 했다. 그런데 양국의 교회 지도자들이 모여 "전쟁이 일어나면 칠레는 칠레대로 망하고 아르헨티나는 아르헨티나대로 망한다"고 눈물로 호소하며 설득했다.
그 결과 정치지도자들이 "전쟁을 하지 말고 평화의 길로 가자"고 마음을 돌렸다. 서로를 겨누고 있던 대포를 녹여 1904년 칠레와 아르헨티나 접경 안데스 산맥 위에 예수의 동상과 십자가를 크게 만들어 세웠다. 그 동상을 보고 양국의 군인과 국민들이 전쟁을 하지 않게 됐고 그 후로도 매년 7월이면 양국의 군사 지도자들이 모여 평화기도회를 연다는 것이다. 이 얼마나 위대한 평화의 역사인가.
그렇다. 평화야말로 가장 위대한 힘이다. 우리 민족만큼 평화가 절실한 나라가 있을까. 이제 남북도 자존심 싸움과 대립을 할 것이 아니라 아기 예수에게 평화의 길을 물어야 할 때다. 온 국민이 종교와 이념을 초월해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고 화합을 이루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비록 남북의 정부끼리는 대립하더라도 종교와 민간 차원의 교류와 협력까지 중단해서는 안 된다. 그것이 우리 민족이 사는 길이다. 21세기,세계적 선진 대국으로 비상할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오늘은 아기 예수가 오신 성탄절이다. 얼어붙은 조국의 대지 위에 평화의 심포니를 울리자.2000년 전 베들레헴의 말구유에 오신 아기 예수에게 다시 평화의 길을 묻자.
소강석 < 새에덴교회 담임목사·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