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내년에 '해양권'을 크게 강화한다. 영토분쟁 중인 섬에 순시선을 더 보내고 첫 항공모함도 당초 예정보다 1년 앞당겨 내년에 진수할 예정이다. 바다에서도 '힘의 외교'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중국 정부는 23일 베이징에서 전국어업(漁業)운영회의를 열고 내년부터 '민감한 해역'에서 자국의 해양권익과 어로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어업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반관영 통신 중국신문사가 보도했다. 일본과 영토분쟁을 빚은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있는 동중국해를 비롯 최근 한국과 불법조업 어선 마찰을 빚은 서해와 남중국해 등이 대상이다.

중국 어업국은 센카쿠열도 인근에서 조업하는 자국 어선을 보호할 목적으로 순찰활동을 상시화하기로 했다. 또 남중국해 남사군도 근해 순찰체제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서사군도 부근 해역에서 외국어선 불법조업에 따른 피해가 크다는 지적도 했다. 서해 한국 영해에서 불법조업은 방치하면서 자국 영해의 외국 어선에 대한 단속은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은 2012년 취역할 것으로 알려졌던 옛 소련 항공모함 '바랴기함'도 1년 앞당겨 배치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로이터는 베이징 소식통을 인용,"중국은 내년 중국공산당 창당 기념일(7월1일)을 즈음해 첫 항공모함을 진수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이 항모를 남사군도를 거치는 석유수송로에 투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바다에서 국경을 맞대고 있는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필리핀 등 6개국과 영토분쟁이나 불법조업 어선 마찰을 빚고 있다. 대외적으론 냉정과 평화를 외치지만 충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과 남중국해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외교부는 역내 해역을 평화와 협력,친선의 장소로 만들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중국과 아세안은 2002년에도 분쟁 당사국들이 남중국해에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자제하자는 내용의 문건을 채택했으나 법적 구속력이 없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돼 왔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