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나 중국이 혼자 풀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없고,미국과 중국의 협조로 풀 수 없는 문제도 거의 없다.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1월 취임 이후 중국과의 관계를 이렇게 설정하겠다고 선언했다. 글로벌 무대에서 미국의 맞상대로 부상한 중국의 위상을 인정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중국의 패권을 견제하겠다는 이중적인 뜻도 숨어 있다.

미국이 원하는 기본적인 협력의 틀은 세계적 영향력이 커진 만큼 중국이 책임있는 이해관계자로서 행동해주는 것이지만 문제는 그렇지 않다는 데 있다. 중국은 때를 기다리며 힘을 키운다는 '도광양회(韜光養晦)' 전략을 버렸다. 급속한 경제력을 기반 삼아 문제가 생기면 적극 개입해 푼다는 '유소작위(有所作爲)'로 외교의 무게중심을 이동했다. 마이클 풀리러브 호주 로이우국제정책연구소 국장은 "베이징은 존중을 원하지,책임은 원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중국의 팽창,중국식 외교에 미국은 역개입과 포위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중국과 관련한 외교사안마다 적극 개입해 협력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중국의 힘을 봉쇄하는 양수겸장이다. 최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을 중국이 감싸고 돌자 미국은 중국의 코앞인 서해에서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호를 동원해 한 · 미 연합훈련을 했다. 지난 3월 천안함 폭침 때는 중국이 반발하자 동해에서 한 · 미 연합훈련을 실시하는 데 그쳤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의 이런 '강(强) 대 강(强)' 전략이 유효했다고 전했다. 한국의 연평도 사격훈련에 북한이 대응하지 않은 것은 중국의 대북 설득이 작용한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2003년부터 중국이 북핵 6자회담을 중재하기 시작한 게 중국을 강하게 밀어붙인 결과라고 회고록에서 밝혔다. 그는 당시 북핵 문제를 외교적으로 풀지 못한다면 미국이 북한 내 핵시설을 직접 공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압박하자 중국이 움직였다고 공개했다.

"중국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미국의 영향력 또한 커지게 된다"는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석좌교수의 역설은 현실이다. 그는 중국 파워를 두려워한 각국이 미국의 대(對)중국 전선에 속속 합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부 장관이 올 들어 유난히 동남아시아 지역을 자주 오간 배경이다. 클린턴 장관은 7월 베트남에서 열린 아세안지역포럼(ARF)에 참석,베트남 등과 중국 간 남중국해 영토분쟁에 대해 "미국은 남중국해에서 자유롭게 항해하고 아시아의 공동수역에 제한없이 접근하는 데 국가적인 이해를 갖고 있다"며 중국을 자극했다. 나아가 미국은 베트남과 핵 협력을 강화하는 협정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클린턴 장관은 이어 10월 말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된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이례적으로 참석한 뒤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뉴질랜드 호주를 순방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초 인도를 방문해 인도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진출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홍콩경제일보는 "두 사람의 외교 행적은 동북아와 동남아를 거쳐 인도까지 C자형으로 중국을 포위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