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미리 경고하는 제도가 내년에 도입된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27일 상장폐지 실질심사 도입으로 부실 기업들이 수시로 퇴출돼 투자자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코스닥의 부실 징후 기업들을 투자자에게 사전 경고하는 '투자주의환기 종목 지정' 제도를 내년 상반기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거래소는 28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사옥 국제회의장에서 '코스닥시장 활성화 및 건전화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거래소는 이 같은 시장경보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상장폐지 기업들의 공통점을 추출하고 아시아기업지배구조센터에 맡긴 연구용역을 토대로 기준을 마련했다. 특히 정량적 평가뿐 아니라 정성적 평가까지 더해 실효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거래소는 현재 △관리 종목 △투자유의 종목 △투자경고 종목 △투자위험 종목을 지정하는 시장경보제를 갖추고 있지만 퇴출 위험을 알려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난해 상장폐지 실질심사제를 도입한 이후 갑작스럽게 퇴출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큰 피해도 입었다.

한편 거래소는 이날 네이쳐글로벌이 상장폐지 이의신청서를 내지 않아 정리매매 등 퇴출 절차가 진행된다고 밝혔다. 올해 코스닥 퇴출 기업은 74개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