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한금융, 신망 높은 경영진 구성해 환골탈태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검찰이 어제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과 이백순 신한은행장을 횡령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라응찬 전 신한금융 회장은 무혐의 처분했다. 신뢰를 생명으로 하는 금융회사의 최고 경영자가 기소됨으로써 당사자는 물론 신한금융 전체의 명예와 이미지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제 하루빨리 고객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조직과 기업 문화를 재정비하고 경영진 공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원들의 신망을 얻을 수 있는 후임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
이번 검찰 수사는 경영진이 자초했다는 점에서 신한금융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겼다. 최고경영자로서 4연임까지 하면서도 후계 구도를 생각지 않은 라 전 회장이나 그 자리를 이어받고자 했던 신 전 사장, 그들의 갈등을 검찰로 가져가 자신마저 파멸시킨 이 행장 그 어느 누구도 면죄부를 받기는 어렵게 됐다. 라 전 회장과 신 전 사장은 이사직도 내놓아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고 이 행장도 사의를 표명했다. 물론 신 전 사장이 은행장이었던 2006~2007년 ㈜투모로 등에 438억원을 부당 대출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고 이희건 명예회장에게 지급할 자문료 15억여원을 횡령했다는 혐의나 이 행장의 3억원 횡령 혐의는 법정에서 시시비비가 가려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경영진의 이전투구로 신한금융 내부가 갈기갈기 찢긴 상황에서 조직 안정과 재도약을 모색하는 것보다 더 급한 일이 없다. 벌써부터 지주 회장과 은행장 자리를 놓고 정부 관계자와 내분 사태에 직접 책임이 있는 임원이 후보로 거론되면서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류시열 회장 직무대행과 이사회는 내분의 후유증을 씻고 조직을 환골탈태시킬 수 있는 인물을 골라야 하며 그 과정에서 어떤 외압을 받거나 조직 내부의 분열적 행동에도 휘말려서는 안된다.
이번 사태로 금융사 최고경영자들의 도덕적 해이와 이들의 독주를 견제하지 못한 허수아비 이사회 등 지배 구조에 심각한 허점도 드러났다. 정부는 차제에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면서도 이들이 사리 사욕을 채우지 못하도록 금융회사 지배구조를 대대적으로 정비해야만 한다.
이번 검찰 수사는 경영진이 자초했다는 점에서 신한금융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오점을 남겼다. 최고경영자로서 4연임까지 하면서도 후계 구도를 생각지 않은 라 전 회장이나 그 자리를 이어받고자 했던 신 전 사장, 그들의 갈등을 검찰로 가져가 자신마저 파멸시킨 이 행장 그 어느 누구도 면죄부를 받기는 어렵게 됐다. 라 전 회장과 신 전 사장은 이사직도 내놓아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고 이 행장도 사의를 표명했다. 물론 신 전 사장이 은행장이었던 2006~2007년 ㈜투모로 등에 438억원을 부당 대출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고 이희건 명예회장에게 지급할 자문료 15억여원을 횡령했다는 혐의나 이 행장의 3억원 횡령 혐의는 법정에서 시시비비가 가려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경영진의 이전투구로 신한금융 내부가 갈기갈기 찢긴 상황에서 조직 안정과 재도약을 모색하는 것보다 더 급한 일이 없다. 벌써부터 지주 회장과 은행장 자리를 놓고 정부 관계자와 내분 사태에 직접 책임이 있는 임원이 후보로 거론되면서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류시열 회장 직무대행과 이사회는 내분의 후유증을 씻고 조직을 환골탈태시킬 수 있는 인물을 골라야 하며 그 과정에서 어떤 외압을 받거나 조직 내부의 분열적 행동에도 휘말려서는 안된다.
이번 사태로 금융사 최고경영자들의 도덕적 해이와 이들의 독주를 견제하지 못한 허수아비 이사회 등 지배 구조에 심각한 허점도 드러났다. 정부는 차제에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면서도 이들이 사리 사욕을 채우지 못하도록 금융회사 지배구조를 대대적으로 정비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