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은 4일 2007년 사상최고지수 경신 당시보다 지금이 추가 상승에 우호적이라는 분석을 내 놨다.

이 증권사 곽중보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3일 종가로 사상최고지수를 경신했다"며 "2007년 11월 장중 최고지수를 기록할 당시와 비교해 보면 펀더멘털, 유동성, 가격매력에서 당시보다 추가 상승에 우호적"이라고 밝혔다.

먼저 국내 기업 이익 규모면에서 보면 2007년은 57조원이었지만 2010년은 87조원으로 예상된다는 것. 이익 증가는 원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강화와 도요타 리콜, 대만 포모사 화재 등의 반사이익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저금이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도 추가 상승의 근거로 들었다. 당시 기준금리 5%, 국고 3년 5.37%에 비해 지금은 2.75%, 3.5%로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때까지는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국내 금리도 점진적이고 완만한 상승을 예상했다.

국내 기관투자자들의 성장과 비싸지 않은 주가 수준도 당시보다 추가 상승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곽 연구원은 "1월효과와 관계없이 국내 주식시장의 장기 상승 동력인 기업이익 사상최고 경신과 유동성을 감안하면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지금은 무엇을 매수할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닷컴 배샛별 기자 s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