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3.4%,“재벌가 자제 이른 임원승진 문제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최근 국내 대기업 총수의 자녀들이 잇따라 젊은 나이에 임원에 올라 화제다.이들 재벌 2,3세는 30대나 40대 초반,빠르면 20대에도 임원자리에 오르는데 이에 대해 일반 직장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전국의 직장인 496명에게 재벌가 자제의 이른 임원승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비정상적인 현상이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다’(73.4%)는 의견이 △‘크게 문제될 것 없다’(26.6%)는 의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부정적 견해는 특히 40대 이상(87.4%)의 나이 든 직장인에게서 가장 높았으며 △20대(71.3%) △30대(67.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른 임원승진이 문제가 되는 이유로는 △‘일반 사원들에게 박탈감이나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48.4%)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임원이 되려면 오랜기간 동안 한 기업에 몸을 담아야 하는 평직원의 입장에서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또한 △‘기업들의 족벌경영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어서(34.9%)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많았고 △‘제대로 된 경영수업 및 능력검증 절차가 없다고 생각돼서(13.7%)라는 직장인도 있었다.
실제로 직장인의 72.4%는 이와같은 임원승진 뉴스를 접할 때마다 상대적 박탈감이나 우울감을 느낀다고 밝혔다.그렇다면 일반적으로 기업에 사원으로 입사해 임원이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여길까.대체로 △10년 이상~15년 미만(36.3%)이나 △15년 이상~20년 미만(34.1%)을 꼽은 직장인이 많았고 뒤이어 △20년 이상(15.9%) △5년 이상~10년 미만(10.5%) △5년 미만도 상관없다(3.2%) 순으로 답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전국의 직장인 496명에게 재벌가 자제의 이른 임원승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비정상적인 현상이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된다’(73.4%)는 의견이 △‘크게 문제될 것 없다’(26.6%)는 의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부정적 견해는 특히 40대 이상(87.4%)의 나이 든 직장인에게서 가장 높았으며 △20대(71.3%) △30대(67.6%)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른 임원승진이 문제가 되는 이유로는 △‘일반 사원들에게 박탈감이나 위화감을 줄 수 있어서’(48.4%)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임원이 되려면 오랜기간 동안 한 기업에 몸을 담아야 하는 평직원의 입장에서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또한 △‘기업들의 족벌경영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어서(34.9%) 부정적이라는 의견도 많았고 △‘제대로 된 경영수업 및 능력검증 절차가 없다고 생각돼서(13.7%)라는 직장인도 있었다.
실제로 직장인의 72.4%는 이와같은 임원승진 뉴스를 접할 때마다 상대적 박탈감이나 우울감을 느낀다고 밝혔다.그렇다면 일반적으로 기업에 사원으로 입사해 임원이 되는데 걸리는 기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여길까.대체로 △10년 이상~15년 미만(36.3%)이나 △15년 이상~20년 미만(34.1%)을 꼽은 직장인이 많았고 뒤이어 △20년 이상(15.9%) △5년 이상~10년 미만(10.5%) △5년 미만도 상관없다(3.2%) 순으로 답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