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와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 대출 문턱이 높아질 전망이다.

6일 한국은행이 산업ㆍ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 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출행태 서베이(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은행의 종합 대출태도지수는 직전분기보다 절반가량 떨어진 8로 집계됐다. 이 지수는 '0' 이상이면 대출완화를 의미하며 높을수록 은행들이 대출에 적극적이라는 의미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13으로 전분기보다 9포인트 하락했으며 대기업과 가계일반자금은 각각 전분기 6에서 1분기 3으로 떨어졌다. 가계주택자금은 수도권 주택가격에 대한 하락 전망이 진정되면서 전분기 3에서 1분기 6으로 상승했다.

한은은 "주택가격이 바닥이라는 인식 등으로 가계의 대출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그러나 경기 상승세 둔화와 금리상승에 따른 채무상환능력 저하를 우려, 중소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둔화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은행이 빌려준 대출금을 다 돌려받지 못할까 봐 우려하는 정도인 신용위험지수는 15로 전분기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 주택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할 경우 소득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무상환 능력이 약화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반영됐다는 설명이다.

은행들은 가계의 대출수요에 대해 전세가격 상승과 소비심리 회복 등 때문에 이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나타내는 대출수요 지수는 가계 일반자금과 주택자금이 각각 16과 22로 전분기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