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원전 수주' 일본이 한국 따돌린 사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전시장에서 한국의 입지가 좁아진다. 일본의 저력이 무섭다. "(산케이신문) "터키 원전 수주도 사실상 일본이 맡는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최근 일본 언론의 보도다. 국제 원전시장에서 일본이 잇따라 한국을 제치자 일본 열도가 달아오르고 있다. 일본 언론들이 이처럼 반색하는 것은 1년 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전에서 한국에 당한 치욕을 갚는다는 성격이 짙다.
마에하라 세이지 당시 국토교통상은 한국이 UAE 원전 수주전에서 이긴 것을 거론하며 "일본의 '데누케(형편없는) 외교'를 뜯어고쳐야 한다"며 비판했다. 그후 일본은 '한국형 수주 전략'을 벤치마킹했다. 무엇보다 민 · 관 일체로 수주전에 나섰다. '인프라 해외수출관계 장관회의'라는 원전 프로젝트 기구를 총리실에 신설했다. 경제산업성은 도시바 미쓰비시중공업 등 6개 원자력기술 보유 기업과 함께 해외 원전건설 및 운영기술 수출 등을 담당할 회사도 세웠다.
효과는 의외로 빨리 나타났다. 일본은 지난해 요르단과의 원자력 협정 체결(9월),베트남 원전 수주(10월)에 이어 11월에는 태국과 원전기술협정을 새로 맺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도 원전분야 협력에 합의했다. 프랑스 역시 한국을 제치고 지난해 인도 원전 6기를 수주했다.
2009년 말 UAE 원전 수주 이후 1년간 한국 원전이 해외시장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못 낸 배경이다. 일본이 요르단 등지에서 원전 사업을 따냈을 때,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마구잡이식 수주보다는 확실한 수주가 중요하다"며 터키로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가 가장 유력하다고 꼽았던 터키는 일본과의 협상에 열심이다. 리투아니아 이집트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등도 한국형 원전 수주를 포기하거나 다른 나라와의 협상에 돌입했다.
정부 일각에서는 열세의 원인을 자금 부족 탓으로 돌리는 분위기다. 부분적인 이유가 될 순 있지만 그것만이 아니다. 어찌된 일인지 1년 전 UAE 원전 수주를 대통령의 외교적 성과라고 열을 올렸던 청와대도 조용하다. 원전 사업의 해외 수주와 같은 대형 사업은 대통령이든 누구든 정부 내 몇몇 인사만으로 중 · 장기 발전 프로그램을 내놓기가 어렵다.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개인기가 아니라 수주 시스템이 중요하다.
장성호 < 국제부 기자 jas@hankyung.com >
최근 일본 언론의 보도다. 국제 원전시장에서 일본이 잇따라 한국을 제치자 일본 열도가 달아오르고 있다. 일본 언론들이 이처럼 반색하는 것은 1년 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전에서 한국에 당한 치욕을 갚는다는 성격이 짙다.
마에하라 세이지 당시 국토교통상은 한국이 UAE 원전 수주전에서 이긴 것을 거론하며 "일본의 '데누케(형편없는) 외교'를 뜯어고쳐야 한다"며 비판했다. 그후 일본은 '한국형 수주 전략'을 벤치마킹했다. 무엇보다 민 · 관 일체로 수주전에 나섰다. '인프라 해외수출관계 장관회의'라는 원전 프로젝트 기구를 총리실에 신설했다. 경제산업성은 도시바 미쓰비시중공업 등 6개 원자력기술 보유 기업과 함께 해외 원전건설 및 운영기술 수출 등을 담당할 회사도 세웠다.
효과는 의외로 빨리 나타났다. 일본은 지난해 요르단과의 원자력 협정 체결(9월),베트남 원전 수주(10월)에 이어 11월에는 태국과 원전기술협정을 새로 맺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도 원전분야 협력에 합의했다. 프랑스 역시 한국을 제치고 지난해 인도 원전 6기를 수주했다.
2009년 말 UAE 원전 수주 이후 1년간 한국 원전이 해외시장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못 낸 배경이다. 일본이 요르단 등지에서 원전 사업을 따냈을 때,우리 정부 관계자들은 "마구잡이식 수주보다는 확실한 수주가 중요하다"며 터키로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우리가 가장 유력하다고 꼽았던 터키는 일본과의 협상에 열심이다. 리투아니아 이집트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등도 한국형 원전 수주를 포기하거나 다른 나라와의 협상에 돌입했다.
정부 일각에서는 열세의 원인을 자금 부족 탓으로 돌리는 분위기다. 부분적인 이유가 될 순 있지만 그것만이 아니다. 어찌된 일인지 1년 전 UAE 원전 수주를 대통령의 외교적 성과라고 열을 올렸던 청와대도 조용하다. 원전 사업의 해외 수주와 같은 대형 사업은 대통령이든 누구든 정부 내 몇몇 인사만으로 중 · 장기 발전 프로그램을 내놓기가 어렵다.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 개인기가 아니라 수주 시스템이 중요하다.
장성호 < 국제부 기자 jas@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