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ㆍ高大' 장ㆍ차관, 취임때보다 더 늘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0명중 32명이 영남 출신, 高大 10명서 18명…80% 늘어
육ㆍ해ㆍ공 참모총장 모두 영남…4대 금융지주 CEO중 3명 高大
MB "실용인사" 라지만…"좁은 인력 풀…국민 호응 어려워"
육ㆍ해ㆍ공 참모총장 모두 영남…4대 금융지주 CEO중 3명 高大
MB "실용인사" 라지만…"좁은 인력 풀…국민 호응 어려워"
출범 4년째를 맞은 이명박 정부 고위직 인사의 지역별 · 대학별 쏠림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남대 · 고려대 편중인사는 여전했다. 4대 권력기관이나 정부 핵심부처의 지역 편중은 더 심화됐다. 한국경제신문이 6일 정부의 장 · 차관급(내정자 포함) 인사 90명의 출신 지역 및 대학을 분석한 결과 영남출신이 36%,고려대 출신이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 · 차관 3명 중 1명은 영남 출신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말 장 · 차관급 인사 8명을 내정하는 개각을 단행했다. 이번에 내정된 감사원장 및 장관후보자를 포함해 장 · 차관급 인사 90명 가운데 대구 · 경북 출신은 15명,부산 · 경남은 17명으로 영남이 32명(36%)을 차지했다. 현 정부 출범 때 나타난 영남 쏠림 현상에 변함이 없었다. 호남출신은 16명에서 15명(17%)으로 줄었고,충청도는 17명에서 15명(17%)으로 감소했다. 서울은 10명에서 16명(18%)으로 늘었다.
4대 권력기관이나 정부 부처의 핵심 요직에 영남 출신이 포진하고 있어 실제 인사편중은 더 심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정보원장은 경남 출신의 김성호 전 원장에 이어 경북 출신인 원세훈 원장으로 바뀌었고,경찰청장은 어청수 · 강희락 · 조현오 등 영남일색이다. 국세청장은 충청 출신에서 경북 출신인 이현동 청장으로 바뀌었다. 검찰총장만 유일하게 비영남(서울)이지만 검찰의 핵심 요직인 서울중앙지검장,법무부 검찰국장은 영남인사로 채워졌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16일 군 수뇌부 인사를 단행하면서 육 · 해 · 공군 참모총장을 모두 영남출신으로 채웠다. 3군의 수장이 모두 특정지역 출신으로 채워진 것은 군사정부가 종식된 김영삼 정부 이후에는 없던 일이다.
◆고려대 인맥 약진
출신 대학을 보면 서울대가 27명(30%)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고려대 18명(20%),연세대 10명(11%),성균관대 7명,경북대 4명,한양대 · 외대 3명 등의 순이었다. 정권 초기와 비교하면 서울대는 47%에서 대폭 줄어든 반면 이 대통령의 모교인 고려대는 11%(10명)에서 18%로 크게 증가했다. 연세대는 9명에서 10명으로 1명 늘었다. 1기 내각 때 한 명도 없었던 경북대가 4명으로 늘어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야권 관계자는 "1기 내각 출범 때 '고소영(고려대 · 소망교회 · 영남)'내각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아직 그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입김'이 직 · 간접으로 미칠 수 있는 금융회사에서는 고려대 인맥이 더욱 두드러진다. 4대 금융지주사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3곳(우리금융 · KB금융 · 하나금융)이 고려대 출신이다.
◆공정사회 취지 퇴색
여권의 한 관계자는 "정권 출범초기 '고소영 내각'이라는 비판을 받았음에도 편중 인사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지역이나 대학을 가리지 않고 일 잘하는 사람을 쓴다'는 이 대통령의 실용인사 원칙이 작용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사에서 지역별 균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더라도 과도한 쏠림 현상은 이명박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공정사회의 취지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는 "MB정부의 인사편중이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며 "이를 치유할 노력은 하지 않은 채 좁은 인력 풀에서만 사람을 뽑고 있어 국민으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진모/구동회/이준혁 기자 jang@hankyung.com
◆장 · 차관 3명 중 1명은 영남 출신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달 말 장 · 차관급 인사 8명을 내정하는 개각을 단행했다. 이번에 내정된 감사원장 및 장관후보자를 포함해 장 · 차관급 인사 90명 가운데 대구 · 경북 출신은 15명,부산 · 경남은 17명으로 영남이 32명(36%)을 차지했다. 현 정부 출범 때 나타난 영남 쏠림 현상에 변함이 없었다. 호남출신은 16명에서 15명(17%)으로 줄었고,충청도는 17명에서 15명(17%)으로 감소했다. 서울은 10명에서 16명(18%)으로 늘었다.
4대 권력기관이나 정부 부처의 핵심 요직에 영남 출신이 포진하고 있어 실제 인사편중은 더 심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가정보원장은 경남 출신의 김성호 전 원장에 이어 경북 출신인 원세훈 원장으로 바뀌었고,경찰청장은 어청수 · 강희락 · 조현오 등 영남일색이다. 국세청장은 충청 출신에서 경북 출신인 이현동 청장으로 바뀌었다. 검찰총장만 유일하게 비영남(서울)이지만 검찰의 핵심 요직인 서울중앙지검장,법무부 검찰국장은 영남인사로 채워졌다.
이 대통령이 지난해 12월16일 군 수뇌부 인사를 단행하면서 육 · 해 · 공군 참모총장을 모두 영남출신으로 채웠다. 3군의 수장이 모두 특정지역 출신으로 채워진 것은 군사정부가 종식된 김영삼 정부 이후에는 없던 일이다.
◆고려대 인맥 약진
출신 대학을 보면 서울대가 27명(30%)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고려대 18명(20%),연세대 10명(11%),성균관대 7명,경북대 4명,한양대 · 외대 3명 등의 순이었다. 정권 초기와 비교하면 서울대는 47%에서 대폭 줄어든 반면 이 대통령의 모교인 고려대는 11%(10명)에서 18%로 크게 증가했다. 연세대는 9명에서 10명으로 1명 늘었다. 1기 내각 때 한 명도 없었던 경북대가 4명으로 늘어난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야권 관계자는 "1기 내각 출범 때 '고소영(고려대 · 소망교회 · 영남)'내각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아직 그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입김'이 직 · 간접으로 미칠 수 있는 금융회사에서는 고려대 인맥이 더욱 두드러진다. 4대 금융지주사 최고경영자(CEO) 가운데 3곳(우리금융 · KB금융 · 하나금융)이 고려대 출신이다.
◆공정사회 취지 퇴색
여권의 한 관계자는 "정권 출범초기 '고소영 내각'이라는 비판을 받았음에도 편중 인사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지역이나 대학을 가리지 않고 일 잘하는 사람을 쓴다'는 이 대통령의 실용인사 원칙이 작용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인사에서 지역별 균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더라도 과도한 쏠림 현상은 이명박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공정사회의 취지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는 "MB정부의 인사편중이 집권 후반기로 갈수록 더 심해지고 있다"며 "이를 치유할 노력은 하지 않은 채 좁은 인력 풀에서만 사람을 뽑고 있어 국민으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진모/구동회/이준혁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