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기관장 교체를 앞두고 정치권과 정부 안팎에서는 빈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암투가 치열해질 전망이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관장 연임은 없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방침이기 때문이다. 집권 4년차에 접어든 이명박 정부로서는 공공기관장 인사를 통해 측근들을 챙겨줄 수 있는 마지막 '보은'의 기회이기도 하다.

올해 임기가 끝나는 공기업 기관장들은 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5개월 내에 임명된 인사가 대부분이다. 기관장 교체 시기가 6~8월에 몰려 있다.

일부는 2,3월부터 임기 만료 시기가 도래한다. 공공기관장 자리를 얻기 위한 정치권 줄대기와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인사를 기관장으로 앉히기 위한 정부 부처 간 세력 다툼이 벌써부터 본격화하고 있다.

정부 한 관계자는 "각 부처에서 퇴직한 전직 관료들의 자리를 관리하는 부서가 요즘 골머리를 앓고 있다"며 "퇴직한 고위 관료와 정치권 인사뿐만 아니라 현 정부와 친분이 있는 인사들까지 임기 만료를 앞둔 기관의 동향을 파악해달라는 주문이 몰려들고 있다"고 전했다.

기관장 임기가 올해 만료되는 산하 공기업이 33곳으로 가장 많은 지식경제부는 더 그렇다.

한국전력공사 가스공사 석유공사 등 민간 출신이 기관장을 맡고 있는 곳은 경영실적에 관계없이 고위 관료나 정치인 출신의 낙하산 인사로 교체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전은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건설 사업을 수주하고 가스공사와 석유공사는 해외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는 등 민간 출신 최고경영자(CEO)들이 지난 3년간 좋은 성과를 냈다.

하지만 다수의 정부 관계자들은 지경부가 알짜 공기업 기관장 자리를 연속으로 민간 출신에게 내주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직 · 간접 경로를 통해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 공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 우리금융은 물론 산업은행 한국투자공사 등 올해 임기 만료를 앞둔 곳은 벌써부터 차기 수장을 둘러싼 하마평이 무성하다.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은 대부분 현 정부 측근 인사들이다.

정부 관계자는 "직원 수가 500명 이상이거나 연간 총수입이 1000억원 이상인 중대형 공기업은 해당 부처 장관이 기관장을 제청할 뿐 최종 임명권은 대통령에게 있는 만큼 결국 인사권자의 의지에 따라 기관장 자리가 정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