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의회장 "호주도 한국과 FTA 맺자고 왔더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의회에 조속 비준 압박
일자리 창출 위해 처리 시급
일자리 창출 위해 처리 시급
"몇 달 전 한국에 다녀왔는데 한 · 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빨리 비준해야겠더라.유럽연합(EU) 캐나다에 이어 호주가 한국과 FTA를 맺자고 왔더라."
토머스 도너휴 미국상공회의소 회장(사진)은 11일(현지시간) 가진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 · 미 FTA는 (한국으로 수출확대를 통해)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에 (미 행정부와 의회가) 빨리 (이행법안을 제출하고 비준해) 처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도너휴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283개 FTA가 발효됐으나 미국이 맺은 FTA는 11개에 불과하다고 미 정부를 비난했다. 상의는 FTA가 미국 내 일자리를 뺏어간다는 미국민들과 정치인들의 인식을 바로잡는 운동도 벌일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국 파나마 콜롬비아 등 3개국과의 FTA 중 비준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미국이 우려하는 파나마와 콜롬비아의 문제들도 해결되고 있다"며 "3개 중 어느 것을 먼저 비준해야 할지는 의회가 알아서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브루스 조스틴 상의 부회장은 "상의가 우선순위를 매길 순 없지만 그렇다고 의회가 동시에 처리할 수도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야당인 공화당 내에서는 3개 FTA를 연계해 처리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상의는 전통적으로 공화당의 정책 방향을 지지해 왔다. 콜롬비아와 체결한 FTA는 콜롬비아 정부의 노조 탄압 문제로 여당인 민주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그동안 처리를 거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 · 미FTA를 여야 공동지지로 비준시켜 올해 초당정치의 대표적인 성과로 내세우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너휴 회장은 "오바마 정부 들어 '규제의 쓰나미'가 왔다"며 규제 개혁도 촉구했다. 그는 "연방정부 기준으로 기존 규제만 이미 15만페이지에 달해 연간 1조7000억달러의 추가 비용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감독개혁법 도입에 따른 규제가 너무 많아 내 손자손녀가 늙어 은퇴하기 전에 다 이행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는 같은 맥락에서 공화당이 추진하는 의료보험개혁법 폐기를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
토머스 도너휴 미국상공회의소 회장(사진)은 11일(현지시간) 가진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 · 미 FTA는 (한국으로 수출확대를 통해) 미국 내 일자리를 창출하는 문제가 걸려있기 때문에 (미 행정부와 의회가) 빨리 (이행법안을 제출하고 비준해) 처리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도너휴 회장은 전 세계적으로 283개 FTA가 발효됐으나 미국이 맺은 FTA는 11개에 불과하다고 미 정부를 비난했다. 상의는 FTA가 미국 내 일자리를 뺏어간다는 미국민들과 정치인들의 인식을 바로잡는 운동도 벌일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국 파나마 콜롬비아 등 3개국과의 FTA 중 비준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미국이 우려하는 파나마와 콜롬비아의 문제들도 해결되고 있다"며 "3개 중 어느 것을 먼저 비준해야 할지는 의회가 알아서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브루스 조스틴 상의 부회장은 "상의가 우선순위를 매길 순 없지만 그렇다고 의회가 동시에 처리할 수도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야당인 공화당 내에서는 3개 FTA를 연계해 처리해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상의는 전통적으로 공화당의 정책 방향을 지지해 왔다. 콜롬비아와 체결한 FTA는 콜롬비아 정부의 노조 탄압 문제로 여당인 민주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그동안 처리를 거부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 · 미FTA를 여야 공동지지로 비준시켜 올해 초당정치의 대표적인 성과로 내세우길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도너휴 회장은 "오바마 정부 들어 '규제의 쓰나미'가 왔다"며 규제 개혁도 촉구했다. 그는 "연방정부 기준으로 기존 규제만 이미 15만페이지에 달해 연간 1조7000억달러의 추가 비용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감독개혁법 도입에 따른 규제가 너무 많아 내 손자손녀가 늙어 은퇴하기 전에 다 이행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는 같은 맥락에서 공화당이 추진하는 의료보험개혁법 폐기를 지지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