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저축’보다는 ‘지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연말정산 환급금으로 직장인들은 ‘저축’보다는 ‘소비’를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이는 경기가 나빴던 2009년과는 대조적인 모습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남녀 직장인 656명을 대상으로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하고 싶은 일’에 관해 조사한 결과 ‘평소 사고 싶던 물건을 구매하고 싶다’고 답한 직장인이 33.1%로 가장 많았다.반면 경기악화로 인해 직장인들의 씀씀이가 줄어들었던 2009년에는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저축을 하겠다’고 답한 직장인이 35.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출 및 카드값 등을 결제(29.6%)’ 순이었다.
한편,남녀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올해 연말정산 환급금은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응답자가 53.8%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작년보다 적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직장인들은 31.7% △작년보다 올해 환급금이 더 많을 것이라도 답한 응답자는 14.5%였다.
특히,이들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연말정산 환급금은 성별과 연령,결혼 유무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올해 받게 될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얼마를 예상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20대는 28만6630원을 △30대는 33만5027원 △40대 이상 직장인들은 64만8532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성별 분석에서는 △여성이 28만4870원 △남성이 43만5556원을 예상해 여성 직장인보다 남성 직장인이 약 15만원 정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결혼 유무별 분석에서는 미혼 직장인보다 기혼직장인이 2배 정도 더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자신을 미혼이라고 밝힌 직장인들의 예상 금액은 26만757원이었고 기혼인 직장인들은 환급 받게 될 연말정산 금액으로 57만8927원을 예상하고 있었다.
직장인들이 환급금을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한 방법은 ‘현금영수증 생활화’인 것으로 조사됐다.평소 환급금을 많이 받기 위해 사전에 준비한 것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63.1%(414명)의 응답자가 사전에 준비한 것이 있다고 답했고 그 방법(복수응답)으로 △현금영수증 생활화(72.7%) △소득공제 대상 보험 및 금융상품 가입(35.7%) △기부 금액 및 기타 지출항목 영수증 챙기기(27.1%) △가족카드를 만들어 한 사람 명의로 몰아주기(21.3%) △회식 및 기타모임 비용 지출은 반드시 내 카드로 계산(11.8%) 등이라고 답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남녀 직장인 656명을 대상으로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하고 싶은 일’에 관해 조사한 결과 ‘평소 사고 싶던 물건을 구매하고 싶다’고 답한 직장인이 33.1%로 가장 많았다.반면 경기악화로 인해 직장인들의 씀씀이가 줄어들었던 2009년에는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저축을 하겠다’고 답한 직장인이 35.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출 및 카드값 등을 결제(29.6%)’ 순이었다.
한편,남녀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올해 연말정산 환급금은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응답자가 53.8%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작년보다 적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직장인들은 31.7% △작년보다 올해 환급금이 더 많을 것이라도 답한 응답자는 14.5%였다.
특히,이들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연말정산 환급금은 성별과 연령,결혼 유무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올해 받게 될 연말정산 환급금으로 얼마를 예상하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한 결과 △20대는 28만6630원을 △30대는 33만5027원 △40대 이상 직장인들은 64만8532원을 받게 될 것이라고 답했다.
성별 분석에서는 △여성이 28만4870원 △남성이 43만5556원을 예상해 여성 직장인보다 남성 직장인이 약 15만원 정도 더 많이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결혼 유무별 분석에서는 미혼 직장인보다 기혼직장인이 2배 정도 더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자신을 미혼이라고 밝힌 직장인들의 예상 금액은 26만757원이었고 기혼인 직장인들은 환급 받게 될 연말정산 금액으로 57만8927원을 예상하고 있었다.
직장인들이 환급금을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한 방법은 ‘현금영수증 생활화’인 것으로 조사됐다.평소 환급금을 많이 받기 위해 사전에 준비한 것이 있는지 질문한 결과 63.1%(414명)의 응답자가 사전에 준비한 것이 있다고 답했고 그 방법(복수응답)으로 △현금영수증 생활화(72.7%) △소득공제 대상 보험 및 금융상품 가입(35.7%) △기부 금액 및 기타 지출항목 영수증 챙기기(27.1%) △가족카드를 만들어 한 사람 명의로 몰아주기(21.3%) △회식 및 기타모임 비용 지출은 반드시 내 카드로 계산(11.8%) 등이라고 답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