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이 바뀐 이후 처음으로 1월에 금리인상을 결정했다.

한은의 '이례적인' 1월 금리인상은 소비자물가가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더 큰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13일 한은 금통위는 올해 첫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75%로 인상하면서 물가안정기조를 확고하게 유지한다고 밝히며,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앞으로 통화정책은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물가안정기조가 확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운용하되 국내외 금융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현재의 2.50%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2.75%로 상향 조정했는데, 금통위가 1월에 금리를 인상한 것은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 금리 수준으로는 지속적으로 커지는 물가 상승 압력을 막는데 한계를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금통위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및 농산물 가격의 상승 등 때문에 지난달 3.5% 수준에 이르렀다"며 "앞으로 경기상승이 이러지고 국제원자재가격이 오르면서 물가상승압력이 지속되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금통위 이후 설명회에서 "세계경제는 신흥시장국 경제가 호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선진국 경제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앞으로 회복세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나 일부 유럽국가의 재정문제로 국게금융시장 불안, 국제원자재가격의 변동성 확대 등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은의 방향에 대해 한 채권 시장전문가는 "지난해보다 물가에 더 방점을 찍었다고 볼 수 있다"며 "올해 금리인상 속도가 더 빨라져 50bp(1bp=0.01p) 범위 내에서 한 두차례 더 인상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말 한은이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에 대한 점검 결과에 따르면, 올해 물가상승률 3.5% 수준으로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중국의 물가 급등 등 때문에 안정 목표 중심치(3%)를 웃돌 것으로 전망이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