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재개발 주민 "판교 순환주택 임대전환 반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토부 1297채 일반공급에 반발
전세난 해소를 위해 판교신도시 순환용주택 일부를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 입주 예정이었던 성남시 재개발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성남시 2단계 재개발 지역인 신흥2구역 주민대책위원회의 신종선 위원장은 "세입자까지 모두 이주하려면 5000채 정도가 부족하다"며 "순환주택을 늘려도 시원찮은 판에 거꾸로 줄이고 있다"고 19일 주장했다.
윤창근 성남시의회 행정기획위원회 의원도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은 재개발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재개발을 재개하고 당초 목적에 맞게 순환용주택을 사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재개발 사업이 정상 진행될 경우 임대주택을 원하는 주민에 한해 위례신도시나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임대아파트 1000채 정도를 대신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입주 가능 시기가 재개발 주민들 이주 시기와 맞지 않아 현실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위례신도시는 입주 때까지 앞으로 2~3년 남았고, 도촌동 임대아파트는 성남시 1단계 재개발구역 주민이 살고 있어 2013년 이후에나 입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2009년 12월 완공된 판교 순환용주택 중 비어 있는 1297채를 임대주택으로 돌려 내달 초 일반에 공급하겠다고 지난 13일 발표했다.
순환용주택은 시차를 두고 개발을 진행 중인 성남시 재개발 지역 주민들이 건축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거주하기 위해 지었다. 39㎡ 1932채, 46㎡ 1768채, 51㎡ 1293채 등 총 4993채로 구성돼 있다. LH의 사업 포기 선언으로 재개발 사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1년 넘게 빈집으로 남아 있다. 재개발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면 작년 7~8월께 이주가 이뤄질 예정이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성남시 2단계 재개발 지역인 신흥2구역 주민대책위원회의 신종선 위원장은 "세입자까지 모두 이주하려면 5000채 정도가 부족하다"며 "순환주택을 늘려도 시원찮은 판에 거꾸로 줄이고 있다"고 19일 주장했다.
윤창근 성남시의회 행정기획위원회 의원도 "임대주택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은 재개발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재개발을 재개하고 당초 목적에 맞게 순환용주택을 사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LH 관계자는 "재개발 사업이 정상 진행될 경우 임대주택을 원하는 주민에 한해 위례신도시나 성남시 중원구 도촌동에 있는 임대아파트 1000채 정도를 대신 공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입주 가능 시기가 재개발 주민들 이주 시기와 맞지 않아 현실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위례신도시는 입주 때까지 앞으로 2~3년 남았고, 도촌동 임대아파트는 성남시 1단계 재개발구역 주민이 살고 있어 2013년 이후에나 입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2009년 12월 완공된 판교 순환용주택 중 비어 있는 1297채를 임대주택으로 돌려 내달 초 일반에 공급하겠다고 지난 13일 발표했다.
순환용주택은 시차를 두고 개발을 진행 중인 성남시 재개발 지역 주민들이 건축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거주하기 위해 지었다. 39㎡ 1932채, 46㎡ 1768채, 51㎡ 1293채 등 총 4993채로 구성돼 있다. LH의 사업 포기 선언으로 재개발 사업이 난항을 겪으면서 1년 넘게 빈집으로 남아 있다. 재개발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면 작년 7~8월께 이주가 이뤄질 예정이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