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에서 19일 열린 미 · 중 정상회담은 전 세계의 이목을 끌어모았다. 양대 슈퍼파워는 환율과 무역 불균형,북핵과 한반도 문제,동아시아 지역의 갈등 등 자국의 이익과 밀접한 분야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8일 정상회담 핵심의제를 선별,양국 전문가들의 의견을 소개했다.

◆한반도 긴장 완화

▼제롬 코헨(뉴욕대 로스쿨)=중국은 한반도 문제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이것이 후진타오 주석의 방미 분위기를 좋게 만들었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양국은 이제 상대방의 협력이 필요하며 많은 문제에 대해 함께 노력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

▼스인훙(중국 인민대 미국연구소 소장)=미국은 환율 및 한반도 문제에 대해 좋지 않은 태도로 중국에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은 한반도 문제에 있어 중국을 책임 있는 동반자가 아닌 '전략적 적국'으로 간주하고 있다.

◆환율 문제

▼스티븐 로치(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미국은 약 90개 국가와 무역거래에서 적자를 보고 있다. 다양한 원인을 갖고 있는 문제를 양자 간의 담판에 의해 (일거에) 해결하리란 생각은 오산이다. 미국이 중국을 압박해 문제를 해결하려 든다면 대중 무역적자가 다른 나라로 옮겨갈 뿐이란 사실을 알아야 한다.

▼쑨리젠(푸단대 경제학원 부원장)=미국과 비교해 중국은 국제 금융시장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위안화 절상에 대한 지나친 압박은 금융시장을 과열시켜 과거 일본보다 더욱 심각한 부동산 거품을 생성할 것이다.

◆미 · 중 군사협력

▼케네스 리버설(브루킹스 연구소 존 손턴 중국센터 소장)=양국은 한반도 문제 및 이란을 포함한 주요 안보 이슈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중국의 군사력이 날로 증대돼 양국이 인접 지역에서 군사훈련을 하는 횟수도 점점 늘고 있다.

▼야오윈주(중국 군사과학원 아시아 · 태평양판공실)=중국과 미국의 군사관계,안보 및 상호 신뢰는 양국 관계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고 특히 최근 들어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그러나 양국 간 불안정한 군사관계를 초래하는 요인이 점차 증대됨에 따라 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된다

◆미국의 아시아 영향력

▼오빌 셸(아시아소사이어티 미 · 중관계센터장)=중국이 다른 국가와 협의 없이 남중국해 문제를 자국의 핵심이익으로 분류한 것은 비단 미국과의 관계뿐 아니라 나머지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에도 깊은 영향을 끼칠 것이다.

▼왕판(중국 외교학원 국제관계연구소장)=미국은 영향력에 있어 우위를 점하고 있고 중국은 지정학적으로 유리하다. 미국이 중국과 논쟁을 벌여 얻을 것은 없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