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주택건설 인 · 허가 물량이 당초 계획 40만1000채보다 1만4000여채 적은 38만6542채로 집계됐다고 20일 발표했다. 부산에선 공급 부족으로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여파로 직전 연도보다 181.8% 늘었다.

작년 인 · 허가 물량은 2009년에 비해 1.2% 늘어났지만 40만채를 밑돌았다. 이에 따라 인 · 허가 물량은 2007년 55만5792채 이후 3년째 40만채를 넘지 못했다. 인 · 허가 물량이 감소하면 공급도 줄어 향후 잠재적 집값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공공부문 주택 인 · 허가 물량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재무구조 악화 등으로 전년 대비 17.8% 감소한 13만8315채에 그쳤다. 민간부문은 24만8227채로 16.3%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6만9190채 △수도권 18만1028채 △지방 13만6324채였다. 서울은 2009년 3만6090채 대비 91.7% 증가했다. 국토부는 보금자리주택과 도시형 생활주택 인 · 허가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분양이 줄지 않고 있는 수도권은 17.3% 감소했지만 지방은 7.7% 늘어났다. 부산과 대전은 각각 181.8%(1만8331채) 118.2%(4034채) 늘어 다른 지역보다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부산은 최근 몇 년간 신규 분양이 적어 지난해 집값 상승폭이 커지면서 인 · 허가 물량도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허가 후 입주까지 2~3년가량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인 · 허가 물량 증가가 중소형 주택 전세수요가 많은 서울 부산 등의 전세시장 수급여건 해소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전망이다.

단독 · 다세대 주택은 10만9553채로 2009년의 8만4604채보다 29.5% 늘었지만 아파트는 27만6989채로 6.8% 줄었다. 전용 85㎡ 이하 중소형 주택은 28만3753채가 인 · 허가를 받아 12.2% 늘어났지만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주택은 20.2% 감소한 10만2789채로 나타났다.

보금자리주택은 16만4867채로 집계됐다. 목표치였던 18만8000채의 87.7% 수준이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