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연료 '우드펠릿'이 뜬다] (3ㆍ끝) 농촌 지역난방 위한 '탄소순환마을' 사업 확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펠릿산업 발전방향
축사ㆍ시설하우스 열원 활용도
발전회사 통해 대량소비 추진…정부, 보일러 교체비용 지원을
축사ㆍ시설하우스 열원 활용도
발전회사 통해 대량소비 추진…정부, 보일러 교체비용 지원을
우드펠릿은 미래형 친환경 청정연료로 각광받고 있지만 일상과 밀접한 생활 및 산업에너지로 자리잡으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대용량 소비처인 산업체의 이용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현재 펠릿 난방시설 지원은 산림청의 가정용 펠릿보일러와 농림수산식품부의 시설원예 펠릿난방기로 제한돼 있다. 수요처 확대를 위해 필수적인 산업용 지원은 사실상 전무한 상태다.
산림청은 올해 경기도와 충북,전남 등 우드펠릿 제조시설이 설치돼 있는 곳을 중심으로 산업용 보일러 시범보급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산림청은 1~3t 규모의 스팀보일러가 산업용 우드펠릿 보일러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드펠릿을 연료로 사용할 경우 경유나 보일러등유 대비 연료비 절감 효과가 최대 45%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업용 연료가 주로 '벙커C유'라는 점을 감안하면 연료비 절감 효과에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산업용인 경우 대량 소비가 가능하고 3,4등급 펠릿을 사용하기 때문에 펠릿 제조사도 납품가격을 낮출 수 있어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실제 충북 청원에 있는 한 업체의 경우 벙커C유를 사용하다 펠릿보일러로 교체한 이후 연료비를 약 20% 이상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드펠릿 시장의 성패는 대량 소비가 가능한 발전회사에 달려 있다는 게 중론이다.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도입에 따라 발전사들은 2022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10% 이상을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우선 2012년부터 2%를 의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부 발전사는 이미 바이오매스 전용 발전소를 착공했다. 발전사들이 당장 사용하는 것은 우드 칩 등 저가의 바이오매스다. 그러나 국내 바이오매스 총량이 제한돼 있는 데다 바이오매스 공급자 측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펠릿 생산을 적극 검토하고 있어 앞으로 우드펠릿이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중심에 설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산림바이오매스를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기후변화 해결의 열쇠"라며 "바이오매스와 석탄을 혼소 발전하면 에너지 효율을 2배로 높일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혼소 발전은 석탄을 이용하면서도 기후변화와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림청은 우드펠릿을 이용해 농 · 산촌을 중심으로 한 지역 단위 난방을 실시하는 탄소 순환 마을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농 · 산촌 지역은 도시가스 등 저가 연료 보급이 어렵다.
소규모 우드펠릿 제조시설을 갖추고 우드펠릿 보일러를 이용,각 가정으로 스팀을 보내 난방도 하고 축사나 시설하우스 등 농작물 생산단지에 필요한 열원도 공급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되면 농 · 산촌 지역은 주변에서 나오는 나무를 직접 생산해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자립과 탄소 중립을 달성할 수 있다.
펠릿산업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하려면 정부의 확고한 의지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우드펠릿 산업은 초기 단계인 데다 특히 산업용의 경우 아직 설치 사례가 많지 않다. 우드펠릿 보일러로 교체하려는 사람들이 이미 설치한 업체를 방문,사례를 직접 견학하는 프로그램 마련도 시급하다.
아울러 우드펠릿 보일러는 일반 산업용 보일러에 비해 고가인 만큼 보일러 교체 비용을 융자 지원하고 연료비 절감액으로 상환할 수 있도록 하거나,우드펠릿 보일러 임대사업 지원도 정책적 차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
우드펠릿 담당부서도 일원화돼야 한다. 현재 지식경제부 농식품부 산림청이 각각 분담하고 있는 역할을 산업이 정착될 때까지는 주력 부서인 산림청에서 총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