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가고시마와 미야자키현 경계에 있는 신모에다케(新燃岳) 화산이 27일 화산재를 2.5㎞ 상공까지 뿜어내는 등 폭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번 화산 분출 활동은 1959년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사실상 폭발 수준이라는 것이 현지 언론의 보도다. 기리시마시 당국은 분화구 반경 2㎞ 이내에 민간인 출입을 금지시키고 있다.
베트남 유명 관광지인 호이안에서 메탄올로 만든 술을 마신 외국인 관광객 2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해 여행객의 주의가 요구된다.8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현지 매체 VN익스프레스 등에 따르면 전날 중부 호이안 현지 경찰은 메탄올로 만든 술을 팔아 관광객을 숨지게 한 레스토랑 바텐더 A씨를 체포했다.A씨는 지난해 12월24일 레스토랑에서 의료용 메탄올과 물, 레몬향, 설탕 등을 섞어 술의 일종인 '리몬첼로'를 만든 혐의를 받는다.A씨가 만든 술을 마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온 남성 B(36)씨와 영국인 여성 C(33)씨가 이틀 뒤인 26일 호이안 중심가의 빌라 방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 조사 결과 심각한 메탄올 중독으로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경찰은 이들이 술을 마신 장소를 알아낸 뒤 현장에서 쓰인 술병 여러 개를 압수하는 등 수사를 벌여왔다.동남아 일부 국가에서는 값싼 메탄올을 넣은 술을 마셔 사망하거나, 다치는 사건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지난해 11월에는 베트남 인접 국가인 라오스의 유명 관광지 방비엥의 한 호스텔 바에서 메탄올을 탄 술을 마신 호주인·덴마크인·영국인·미국인 출신 외국인 관광객 6명이 사망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데다 중국 정부가 언제든 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세계 각국이 잇따라 접속차단 등 금지 조치에 나선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PC는 물론 로봇과 전기차까지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섰다.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자동차 제조업체 등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탑재에 나섰다.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최근 웨이보(중국 SNS)를 통해 자사 샤오톈 AI 어시스턴트와 딥시크 AI 모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문장 독해와 코드 생성, 수학, 추론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레노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샤오톈 서비스를 태블릿과 스마트폰 등 다른 제품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UB테크는 자사 로봇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이 복잡한 현실세계 환경에서 지시를 이해하도록 돕고 공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중국 지리자동차는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딥시크의 RI 추론 모델을 자사가 개발한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고 있다.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군에서 딥시크 도입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비용상 이점과 오픈소스라는 접근 방식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한편 국내 주요 정부부처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했다.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종이 빨대(사용)에 대한 말도 안 되는 바이든의 압박을 끝내기 위해 다음 주에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종이 빨대 사용 권장에 대해 "작동하지 않고 있다"면서 "플라스틱으로 돌아가자"고 강조했다.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때도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한 바 있다. 2019년에는 빨간색 일반 빨대에 트럼프(TRUMP) 로고를 새긴 뒤 이를 10개에 15달러에 판매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당시 캠프는 일주일 만에 46만 달러(약 6억7000만원)를 모금하는 등의 성과도 거뒀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