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적 접근보다 순환매에 초점"-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투자증권은 28일 공격적인 장세접근보다는 종목별 순환매에 초점을 맞춘 단기매매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이 증권사 박성훈 연구원은 "일부 신흥국시장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전날 코스피지수가 장 초반의 상승폭을 반납하며 마감한 점이나 삼성전자의 두번째 100만원선 돌파시도 무산에서 볼 수 있듯이 지수의 고점 돌파 부담도 여전한 것이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또 비교적 긴 설 연휴를 앞두고 있다는 것도 단기적으로 투자자들의 적극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전날 S&P의 일본 신용등급 하향조정 역시 설 이전 3영업일 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해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봤다.
박 연구원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는 국면이라는 점에서 (일본의 신용등급 강등은) 단기적인 파장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글로벌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단기적인 조정의 빌미로 작용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는 "이를 감안할 때 당분간 공격적인 장세접근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지수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지만 않는다면 종목별 순환매흐름은 좀 더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이 증권사 박성훈 연구원은 "일부 신흥국시장이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으나, 전날 코스피지수가 장 초반의 상승폭을 반납하며 마감한 점이나 삼성전자의 두번째 100만원선 돌파시도 무산에서 볼 수 있듯이 지수의 고점 돌파 부담도 여전한 것이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또 비교적 긴 설 연휴를 앞두고 있다는 것도 단기적으로 투자자들의 적극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전날 S&P의 일본 신용등급 하향조정 역시 설 이전 3영업일 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에 미칠 파장에 대해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봤다.
박 연구원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감이 강화되고 있는 국면이라는 점에서 (일본의 신용등급 강등은) 단기적인 파장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며 "그러나 글로벌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단기적인 조정의 빌미로 작용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는 "이를 감안할 때 당분간 공격적인 장세접근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지수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지만 않는다면 종목별 순환매흐름은 좀 더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