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간 이동은 1980년 이후 최소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인구이동 수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이후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이동자 수는 822만6천명으로 2009년의 848만7천명보다 3.1% 감소했으며 1998년(815만6천명) 이후 12년 만에 가장 적었다.

이동자 수는 전국 읍·면·동에 접수된 전입신고서를 바탕으로 전입신고 가운데 읍·면·동 경계를 넘어 이동한 수치로 작성된다.

전국 이동자 수는 경제성장률이 -6.9%로 추락했던 1998년에 815만6천명으로 저점을 기록했으며 1999년 943만5천명으로 급반등하고 나서 2002년에는 958만4천명까지 늘었다.

2003년부터는 경제성장률이 3%대로 떨어지면서 이동자 수도 감소세로 돌아서 2005년에는 879만5천명을 기록했으며 부동산시장이 과열된 2006, 2007년에는 900만명대를 회복하는 등 하는 증감을 거듭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성장률이 2.3%에 머물렀던 2008년에는 다시 880만8천명으로 내려섰고 성장률이 0.2%에 그쳤던 지난해에는 848만7천명까지 줄었다.

아울러 지난해 전국 이동자 가운데 시·도 경계를 넘어 이동한 인구는 266만2천명으로 전년보다 2.4% 줄었다.

이는 1980년에 260만5천명을 기록한 이후 30년 만에 가장 적은 수치다.

또 시·군·구 간 이동 역시 245만9천명으로 2009년보다 4.5% 감소했으며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5년 이후 가장 적었다.

이밖에 시·군·구 안에서 이동한 인구는 지난해 310만4천명으로 2009년보다 2.5% 줄었으며 1998년(291만7천명) 이후 가장 적었다.

통계청 서운주 인구동향과장은 "국내 인구이동은 장기적으로 사회 안정과 가구원수의 감소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며 단기적으로는 부동산시장 상황과 신규 아파트 분양, 경기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광역단체별로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보면 경기가 14만2천437명을 기록해 전입초과 규모가 가장 컸으며 충남(1만6천178명), 충북(5천964명), 인천(3천612명), 광주(3천531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은 -11만5천23명을 기록해 전출초과 1위를 차지했으며 부산(-2만8천466명), 대구(-1만1천840명), 전남(-1만61명), 경북(-3천552명)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시ㆍ군ㆍ구별 순이동은 남양주시가 3만1천48명으로 가장 많았고 파주시(2만7천245명), 용인시(2만6천684명), 광명시(2만3천94명), 오산시(1만9천880명), 광주 광산구(1만5천443명), 서울 은평구(1만2천86명), 부산 기장군(1만1천90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전출초과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은 수원(-1만2천700명)이었으며 이어 서대문구(-1만963명), 부천시(-9천916명), 영등포구(-9천322명), 송파구(-9천266명), 관악구(-9천252명), 강서구(-9천145명), 양천구(-8천994명), 노원구(-8천126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