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속보]올해는 글로벌 공조가 약해지고 환율 전쟁과 무역 불균형을 둘러싼 국가간 갈등이 심화될 전망이다.특히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국가 부채 상환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경기 부양책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30일 발표한 ‘2011년 해외 11대 트렌드’보고서에서 각 국이 통화 절하를 통해 수출 경기 회복을 노리면서 환율 갈등이 심해질 것으로 예상했다.연구원은 “중국이 저평가 통화 정책으로 상당한 무역 흑자를 기록함에 따라 다른 나라도 이를 본보기로 삼고 자국통화 저평가 정책을 쓸 것”이라며 “보호무역주의가 점차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또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미국과 유럽의 국가 채무가 3조5000억달러에 달하는 등 국가 부채상환 압박도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그러나 “유럽의 재정위기 국가들을 위한 대규모 대기성 펀드가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유동성 위기로 인한 채무 불이행의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재정 여력이 약화된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비롯해 세계 각 국은 경기 부양책도 지속하기 어려울 전망이다.선진국에서는 정부의 지원이 축소되고 민간 부문의 회복이 부진해 경기후퇴와 디플레이션(저 성장속 물가 하락) 우려가 고조될 것으로 보인다.반면 신흥 개발도상국에서는 정부 지원 축소로 인한 경기둔화가 자산시장 과열을 식히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풍부한 자원과 중산층이 확대되고 있는 아프리카 터키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멕시코 베트남 등의 국가가 세계 경제의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신흥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했다.선진국 중에선 재정 건전성이 높고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는 독일이 유럽 경제적 위기의 해결사로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작년 타임지에 이어 올해 뉴욕타임스가 인터넷뉴스를 유료화하면서 등 신문업계의 ‘온라인 컨텐츠 유료화’도 해외 11대 트렌드 중 하나로 선정됐다.

이밖에 보고서는 △국제 질서의 경쟁과 대립△자동차업계의 고난△다국적 기업의 변신△일본기업의 M&A지속△기업창업 붐 등을 해외 주요 트렌드로 정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