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公, 저축銀에 1조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규모 예금인출 사태 차단
신용 공여한도 설정 추진
신용 공여한도 설정 추진
저축은행 영업정지에 따른 대규모 예금 인출(뱅크런) 사태를 막기 위해 정책금융공사가 저축은행중앙회에 1조원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1일 "일부 저축은행의 영업정지로 건전한 저축은행까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저축은행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할 경우 정책금융공사를 통해 1조원을 긴급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로 3일 만에 5000억원의 예금인출이 발생하는 등 뱅크런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정책금융공사나 은행권을 동원해 시장의 불안심리를 잠재우기로 했다. 유재한 정책금융공사 사장은 이와 관련,"현재 (저축은행 유동성 지원 방안을) 실무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에 1조원을 지원하는 방안은 여러 가지 정책적인 패키지와 함께 추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책금융공사는 저축은행업권 위기 발생 시 1조원 규모의 크레디트 라인(신용공여한도)을 저축은행중앙회에 열어주게 된다. 지원 형태는 직접 지원과 은행권 보증의 형태로 나뉘어 실제 지원 효과는 1조~2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저축은행중앙회가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은 현재 3조1000억원에서 최대 5조원으로 늘어난다. 금융당국은 이와 함께 은행에 보증을 해줘 은행권이 지원토록 하는 방법,기타 금융공기업을 활용하는 방법 등도 모색하고 있다.
105개 저축은행의 지급준비금을 관리하면서 위기 때 유동성을 지원하는 저축은행중앙회는 전국 저축은행 대표로 구성된 유동성 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중앙회는 위기 때 유동성 지원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규정도 개정하기로 했다. 지난달 31일 주요 저축은행 대표들이 모여 대책 회의를 했으며 정관 개정을 위한 운영심의위원회도 열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금융당국 관계자는 1일 "일부 저축은행의 영업정지로 건전한 저축은행까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저축은행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할 경우 정책금융공사를 통해 1조원을 긴급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로 3일 만에 5000억원의 예금인출이 발생하는 등 뱅크런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금융당국은 정책금융공사나 은행권을 동원해 시장의 불안심리를 잠재우기로 했다. 유재한 정책금융공사 사장은 이와 관련,"현재 (저축은행 유동성 지원 방안을) 실무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에 1조원을 지원하는 방안은 여러 가지 정책적인 패키지와 함께 추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책금융공사는 저축은행업권 위기 발생 시 1조원 규모의 크레디트 라인(신용공여한도)을 저축은행중앙회에 열어주게 된다. 지원 형태는 직접 지원과 은행권 보증의 형태로 나뉘어 실제 지원 효과는 1조~2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저축은행중앙회가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은 현재 3조1000억원에서 최대 5조원으로 늘어난다. 금융당국은 이와 함께 은행에 보증을 해줘 은행권이 지원토록 하는 방법,기타 금융공기업을 활용하는 방법 등도 모색하고 있다.
105개 저축은행의 지급준비금을 관리하면서 위기 때 유동성을 지원하는 저축은행중앙회는 전국 저축은행 대표로 구성된 유동성 대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중앙회는 위기 때 유동성 지원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규정도 개정하기로 했다. 지난달 31일 주요 저축은행 대표들이 모여 대책 회의를 했으며 정관 개정을 위한 운영심의위원회도 열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