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현대자동차, 양적 팽창 넘어 질적 성장 시대…그랜저·벨로스터가 터닝포인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 심층진단
판매대수 보다 단가 중시…저비용 고수익구조 정착
상반기부터 실적 좋아져…올 영업익 3조9000억 예상
판매대수 보다 단가 중시…저비용 고수익구조 정착
상반기부터 실적 좋아져…올 영업익 3조9000억 예상
올해 현대자동차를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는 '양적 팽창'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변화가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다. 현대차가 내세운 'New Thinking,New Possibility(새로운 생각이 새로운 가치를 만든다)'라는 슬로건과 '모던 프리미엄'이라는 브랜드 전략이 상징하는 것도 질적 개선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해외공장 건설과 판로 확대로 요약할 수 있는 지금까지의 양적 팽창이란 성장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수정하겠다는 야심찬 전략이 깔려 있다.
이런 맥락에서 올해 현대차를 볼 때 판매대수보다 평균 판매단가에 주목해야 한다. 한 대를 팔더라도 이전보다 비싼 차를 팔아야 매출과 이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초부터 대거 선보이고 있는 신형 그랜저 등 신규 차종은 양적 팽창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 성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질적 성장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글로벌 자동차회사들은 대부분 생산량 700만대를 넘어서는 단계에서 한 차례 고비를 맞았다. GM과 도요타도 이 단계에서 가동률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품질에 문제가 나타났다. 생산 수준이 양적 팽창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질적 퇴보를 야기한 것이다.
현대 · 기아자동차 역시 내년이면 중국 제3공장과 브라질공장 완공으로 생산량 700만대 반열에 오르게 된다. '질'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는 단계다. 이 같은 시점에서 질적 향상에 집중키로 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결정이다.
올해 현대차의 전 세계 생산량은 지난해 360만대보다 10%가량 늘어난 400만대로 예상된다. 회사 측은 보수적으로 봐서 8% 증가한 390만대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생산량 증가에 비하면 저조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실망하기에 앞서 연초부터 새 모델을 공격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매출 규모 증가 이전에 수익성 개선을 예감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저비용 · 고수익 판매구조가 정착되는 것이다.
이 같은 낙관적 전망의 근거로는 새 모델을 국내외에서 출시하면서 평균 판매가격 상승이 지속된다는 점을 우선 들 수 있다. 신형 그랜저 출시 등으로 판매차종의 단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2009년 12%에 불과했던 통합 생산라인 사용 모델이 지난해 32%,올해 67%로 확대되면서 원가 절감폭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브랜드 가치와 잔존가치(차량 구입 후 일정시간 경과시 가치)도 동반 상향되면서 저비용 · 고수익의 판매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이 이익은 공장도 가격과 소비자 판매가격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이익을 희생해 왔던 판매법인들에도 돌아가 현대차 세일즈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금융 활성화를 통한 자산 확대로 현대캐피탈 등 금융 계열사의 이익기여도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도 질적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대목이다. 올 1분기부터는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으로 연결재무제표를 기본으로 사용하면서 비상장사인 현대캐피탈의 실적이 회사 재무제표에 반영된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올해 매출 38조7000억원에 영업이익 3조9000억원,당기순이익 6조4000억원의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관측된다.
◆신형 그랜저 · 엑센트 효과 기대해볼 만
현대차의 실적 호조는 올 상반기에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지난해 11월 출시됐지만 비정규직 파업 등으로 판매가 미뤄졌던 엑센트의 신차효과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엑센트는 국내판매보다 해외판매를 겨냥한 수출전략형 모델이었지만,계획 당시 예상했던 1250원의 원 · 달러 환율이 크게 떨어지면서 수익에는 기여하지 못했다. 신형 엑센트는 환율 900원 이하에 대비해 만들어진 모델로,판매가 본격화되면 1100원대 환율에서 원가구조는 물론 수출마진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국내보다 한발 앞서 출시된 중국시장에서 월 1만대에 가까운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전망이 밝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3일 나온 신형 그랜저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내수 평균 판매단가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의 내수판매에서 12~15%를 차지했던 그랜저는 현재 월 2000대가량 팔리며 비중이 3%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신형 그랜저가 출시되면서 이 비중이 이전 수준을 회복하면 평균 판매단가도 오르게 된다.
신형 그랜저의 가격대는 대당 3200만~3900만원으로,2250만원 수준인 현대차의 평균 내수 판매단가보다 크게 높다. 현대차는 신형 그랜저 판매목표를 올해 10만대,내년에는 11만대로 제시했다. 현재 추세로 보면 2월부터 월 1만대 이상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2월에 출시되는 벨로스터는 이전에 투스카니가 담당했던 빈 자리를 메워줄 것으로 판단된다. 2006년 3만822대,2007년 3만3481대,2008년 2만2120대가 판매됐던 투스카니는 제네시스 쿠페의 출시와 함께 단종된 상태다. 새로 출시되는 벨로스터는 쿠페와 해치백 디자인을 결합하고 '2+1 도어(1개의 운전석 도어와 2개의 조수석 전 · 후 도어)' 구조를 채택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1.6ℓ 가솔린 엔진에 6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조합한 성능에다 2000만원대 가격대로 젊은층의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된다. 단종된 차종이 부활한다는 의미가 있는 만큼 추가 판매대수 및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형 아반떼의 미국 판매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기존 YF쏘나타에 신형 아반떼 판매가 더해지면서 올해 현대차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종전 최고치를 경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의 쾌속 질주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고태봉 IBK투자증권 연구위원 coolbong@ibks.com
이런 맥락에서 올해 현대차를 볼 때 판매대수보다 평균 판매단가에 주목해야 한다. 한 대를 팔더라도 이전보다 비싼 차를 팔아야 매출과 이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초부터 대거 선보이고 있는 신형 그랜저 등 신규 차종은 양적 팽창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 성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핵심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질적 성장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
글로벌 자동차회사들은 대부분 생산량 700만대를 넘어서는 단계에서 한 차례 고비를 맞았다. GM과 도요타도 이 단계에서 가동률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품질에 문제가 나타났다. 생산 수준이 양적 팽창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질적 퇴보를 야기한 것이다.
현대 · 기아자동차 역시 내년이면 중국 제3공장과 브라질공장 완공으로 생산량 700만대 반열에 오르게 된다. '질'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는 단계다. 이 같은 시점에서 질적 향상에 집중키로 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결정이다.
올해 현대차의 전 세계 생산량은 지난해 360만대보다 10%가량 늘어난 400만대로 예상된다. 회사 측은 보수적으로 봐서 8% 증가한 390만대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생산량 증가에 비하면 저조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실망하기에 앞서 연초부터 새 모델을 공격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매출 규모 증가 이전에 수익성 개선을 예감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저비용 · 고수익 판매구조가 정착되는 것이다.
이 같은 낙관적 전망의 근거로는 새 모델을 국내외에서 출시하면서 평균 판매가격 상승이 지속된다는 점을 우선 들 수 있다. 신형 그랜저 출시 등으로 판매차종의 단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2009년 12%에 불과했던 통합 생산라인 사용 모델이 지난해 32%,올해 67%로 확대되면서 원가 절감폭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브랜드 가치와 잔존가치(차량 구입 후 일정시간 경과시 가치)도 동반 상향되면서 저비용 · 고수익의 판매구조가 정착되고 있다. 이 이익은 공장도 가격과 소비자 판매가격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이익을 희생해 왔던 판매법인들에도 돌아가 현대차 세일즈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는 선순환 구조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금융 활성화를 통한 자산 확대로 현대캐피탈 등 금융 계열사의 이익기여도가 늘어날 것이라는 점도 질적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대목이다. 올 1분기부터는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으로 연결재무제표를 기본으로 사용하면서 비상장사인 현대캐피탈의 실적이 회사 재무제표에 반영된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올해 매출 38조7000억원에 영업이익 3조9000억원,당기순이익 6조4000억원의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관측된다.
◆신형 그랜저 · 엑센트 효과 기대해볼 만
현대차의 실적 호조는 올 상반기에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 먼저 지난해 11월 출시됐지만 비정규직 파업 등으로 판매가 미뤄졌던 엑센트의 신차효과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엑센트는 국내판매보다 해외판매를 겨냥한 수출전략형 모델이었지만,계획 당시 예상했던 1250원의 원 · 달러 환율이 크게 떨어지면서 수익에는 기여하지 못했다. 신형 엑센트는 환율 900원 이하에 대비해 만들어진 모델로,판매가 본격화되면 1100원대 환율에서 원가구조는 물론 수출마진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국내보다 한발 앞서 출시된 중국시장에서 월 1만대에 가까운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전망이 밝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3일 나온 신형 그랜저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내수 평균 판매단가도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의 내수판매에서 12~15%를 차지했던 그랜저는 현재 월 2000대가량 팔리며 비중이 3%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신형 그랜저가 출시되면서 이 비중이 이전 수준을 회복하면 평균 판매단가도 오르게 된다.
신형 그랜저의 가격대는 대당 3200만~3900만원으로,2250만원 수준인 현대차의 평균 내수 판매단가보다 크게 높다. 현대차는 신형 그랜저 판매목표를 올해 10만대,내년에는 11만대로 제시했다. 현재 추세로 보면 2월부터 월 1만대 이상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목표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2월에 출시되는 벨로스터는 이전에 투스카니가 담당했던 빈 자리를 메워줄 것으로 판단된다. 2006년 3만822대,2007년 3만3481대,2008년 2만2120대가 판매됐던 투스카니는 제네시스 쿠페의 출시와 함께 단종된 상태다. 새로 출시되는 벨로스터는 쿠페와 해치백 디자인을 결합하고 '2+1 도어(1개의 운전석 도어와 2개의 조수석 전 · 후 도어)' 구조를 채택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1.6ℓ 가솔린 엔진에 6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를 조합한 성능에다 2000만원대 가격대로 젊은층의 인기를 끌 것으로 전망된다. 단종된 차종이 부활한다는 의미가 있는 만큼 추가 판매대수 및 매출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형 아반떼의 미국 판매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기존 YF쏘나타에 신형 아반떼 판매가 더해지면서 올해 현대차의 미국시장 점유율은 종전 최고치를 경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의 쾌속 질주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고태봉 IBK투자증권 연구위원 coolbong@ibk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