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포인트 성공전략] 장사 안 된다고?…더 친절해 지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초부터 창업교육을 받으려는 예비창업자 및 소상공인들의 전화가 부쩍 많아졌다. 해가 바뀌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려는 수요와 관심있는 분야에 도전해 보려는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알려진 대로 우리나라 소상공업은 음식업,도 · 소매업,개인서비스업이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창업시장에서도 쉽게 창업하고 쉽게 폐업하는 이른바 '다산다사' 형태가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자영업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적절히 활용,자신만의 차별화 전략을 가져야 한다.
지난해 7월 소상공인진흥원에서 조사한 '전국 소상공인 실태' 자료에 따르면 점포의 순이익이 증가한 사유,즉 장사가 잘되는 이유로는 친절한 서비스 강화,시설 개선을 통한 고객 유치,경영기법 개선,신제품 출시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순이익이 감소한 사유로는 주변 업체와의 경쟁,소비자 구매패턴 변화,원가 상승,대형 업체 출현 순이었다. 이는 가게의 성패가 영업환경 등 외부 요인보다는 내부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예비창업자들의 60%가 평균 6개월 미만의 창업 준비 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도 기간으로는 원하는 업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창업자금 확보 등을 완벽하게 준비하기 어렵다.
이왕 창업하려고 마음 먹었으면 몇 가지 준비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첫째 창업 교육을 이수하자.창업에 지름길은 없다. 교육이야말로 성공 창업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된다. 둘째 성공한 업체에서 몇 개월간 일을 해보자.실제 창업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실전 경험을 해본 뒤 창업시장에 뛰어드는 게 바람직하다.
우길수 < 소상공인진흥원 지식서비스팀장 >
알려진 대로 우리나라 소상공업은 음식업,도 · 소매업,개인서비스업이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창업시장에서도 쉽게 창업하고 쉽게 폐업하는 이른바 '다산다사' 형태가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자영업 시장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적절히 활용,자신만의 차별화 전략을 가져야 한다.
지난해 7월 소상공인진흥원에서 조사한 '전국 소상공인 실태' 자료에 따르면 점포의 순이익이 증가한 사유,즉 장사가 잘되는 이유로는 친절한 서비스 강화,시설 개선을 통한 고객 유치,경영기법 개선,신제품 출시 등의 순이었다. 반대로 순이익이 감소한 사유로는 주변 업체와의 경쟁,소비자 구매패턴 변화,원가 상승,대형 업체 출현 순이었다. 이는 가게의 성패가 영업환경 등 외부 요인보다는 내부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예비창업자들의 60%가 평균 6개월 미만의 창업 준비 기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도 기간으로는 원하는 업종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창업자금 확보 등을 완벽하게 준비하기 어렵다.
이왕 창업하려고 마음 먹었으면 몇 가지 준비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첫째 창업 교육을 이수하자.창업에 지름길은 없다. 교육이야말로 성공 창업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된다. 둘째 성공한 업체에서 몇 개월간 일을 해보자.실제 창업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실전 경험을 해본 뒤 창업시장에 뛰어드는 게 바람직하다.
우길수 < 소상공인진흥원 지식서비스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