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2인 가구 위주로 들어서는 도시형 생활주택을 3~4인용으로도 유도하기 위해 제도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전세난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취지다.

서울시는 대부분 20㎡ 이하의 원룸형 초소형으로 지어지는 도시형 생활주택을 40~50㎡ 짜리 단지형 주택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일부 완화할 방침이라고 10일 발표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단지형 도시형 생활주택에도 경량 칸막이 등을 설치해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키로 했다.

현행 도시형 생활주택은 12~50㎡ 이하까지 건설이 가능하지만 사업 시행자들은 수익성 등을 목적으로 분양 물량이 많은 12~20㎡형 도시형 생활주택 건설을 선호해 전세난을 해소하는 데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을 받아 왔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도시형 생활주택 인 · 허가 건수는 총 9906채로 이 중 20㎡ 안팎으로 구성된 초소형 주택이 8494채로 85%가량을 차지했으며 40~50㎡ 주택은 994채로 10% 정도에 불과했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도시형 생활주택 입주 예정 물량이 7000채이고,내년에는 두 배가 넘는 1만5000채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도시형 생활주택 건설 규모를 현행 150채에서 300채로 확대하는 주택법 개정안이 상반기 중 국회를 통과할 경우 내년 입주물량은 훨씬 더 늘어날 것으로 서울시는 보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구로5동에 완공된 한 도시형 생활주택을 방문해 "도시형 생활주택은 인 · 허가에서 준공까지 1년 정도 걸릴 정도로 사업 기간이 짧은데다,앞으로 3~4인용 건설도 활성화할 계획이어서 서울시의 전세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