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농림수산식품부 환경부 등 정부합동조사단은 15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구제역 감염 가축 매몰지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정부는 이날 매몰지에 대한 대책도 내놨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강 상류지역의 매몰지 74곳 중 22곳(29.7%)에서 침출수 유출과 붕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11월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경북 안동을 포함한 낙동강 상류 경북지역의 89개 매몰지 중 61개소(68.5%)가 '부실' 판정을 받았다.
한강 상류지역에선 △붕괴 위험이 있는 5곳을 비롯해 △침출수 유출 우려 12곳 △빗물이 모여드는 5곳 등으로 조사돼 보강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낙동강 상류지역에선 45곳이 사면의 안전성 등 보완이 필요하고 16곳은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해 환경부 토양지하수과장은 "이들 지역에 대해선 조속히 차수벽과 옹벽,배수시설을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전국의 가축 매몰지는 4632곳으로 이 중 2696곳이 한강상류에 집중돼 있으며 낙동강 상류 경북지역에도 1034곳이 몰려 있다.
정부는 이날 '가축 매몰지 관리 종합대책'도 발표했다. 정부는 구제역 가축 매몰지 주변에 센서경보기를 설치해 침출수 유출을 감시하는 '토양 오염 경보시스템'을 도입키로 했다. 침출수 등으로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되면 대책본부로 자동 경보를 발령한다.
또 전국의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관정 3000곳의 지하수 수질도 조사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가축이 대량으로 묻힌 지역부터 공사비의 70%를 국비로 지원해 상수도를 확충할 방침이다.
우희종 서울대 교수(수의학)는 "학계에서 작년 12월 초순부터 구제역 확산을 우려해 소각과 예방접종을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다른 국가처럼 발생 초기에 백신 접종과 소각,매몰을 병행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