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실시된 감사원장과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인선 내용을 보면 현 정부의 좁은 인사풀이 그대로 드러난다. 양건 감사원장 후보자는 현 정부 초대 권익위 위원장을 역임했다. 백운현 국민권익위 부위원장 내정자는 2009년 9월부터 약 1년간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을 지냈다. 청와대는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 받았다고 하지만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양 후보자는 감사원장으로 부정부패와 관련한 실무 분야에서 일을 해보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말했다. 지난달 12일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가 자진 사퇴한 이후 한 달 넘게 진행된 후임자 인선 작업은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 정 후보자 낙마에 따른 청문회 공포증 때문이었다. 일종의 인사 '트라우마(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시달린 것이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경제계 출신은 경제부처가 감사원 감사 대상인 점을 감안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정 후보자 때의 전관예우 논란을 고려해 법조계 출신도 배제했다"며 "그러다 보니 학계 인사들을 주로 검증했다"고 했다.

청와대는 지난 15일 양 후보자에 대한 약식 청문회를 열었다. 홍상표 홍보수석은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구입한 땅과 일부 논문의 시빗거리 등에 대한 충분한 소명이 이뤄졌다"고 했다. 양 후보자는 2009년 권익위원장 재직 시 재산은 본인과 가족을 합해 17억9900만원 정도였다. 현재 재산은 15억원 정도인 것으로 청와대는 파악했다. 쟁점이 되는 부분은 배우자 명의의 강원 원주시 흥업리 소재 임야(867㎡ · 380만원).청와대 관계자는 "은퇴한 후 그곳에서 독서하기 위해 전원주택용으로 구입했다고 한다. 양 내정자는 '투기는 아니고 속아서 샀다. 후회가 된다'고 했다"고 해명했지만 청문회 과정에서 논란이 될 전망이다.

감사원장 이외 다른 주요직 인사를 놓고도 청와대는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4개월째 공석인 지역발전위원장은 굵직 굵직한 대형 국책 사업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지역 갈등 때문에 인선을 못하고 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