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자금 대이동] 예·적금 잔액 809조…지난해 137조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년 만에 최대폭
지난해 금융권의 정기 예 · 적금이 10년 만에 최대폭 늘어 800조원을 넘어섰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정기 예 · 적금 평균 잔액은 808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09년 같은 기간에 비해선 137조원(20.4%) 늘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00년(2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05년 2.5%에 머물렀던 정기 예 · 적금 증가율은 2006년 5.0%,2007년 6.3%,2008년 12.0%,2009년 14.9% 등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특히 2009년부터는 국내 통화량(M2)보다 훨씬 높은 증가율을 기록,시중 자금을 대거 흡수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는 만기가 짧은 상품에 더 집중됐다. 전체 정기 예 · 적금에서 만기 2년 미만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90.3%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0년대 이후 가장 컸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위기 때 정기 예 · 적금이 늘어난 이유가 고금리의 매력이었다면,지난해는 낮은 금리에도 유동성이 풍부했기 때문에 정기 예 · 적금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정기 예 · 적금 평균 잔액은 808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09년 같은 기간에 비해선 137조원(20.4%) 늘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2000년(20.8%)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2005년 2.5%에 머물렀던 정기 예 · 적금 증가율은 2006년 5.0%,2007년 6.3%,2008년 12.0%,2009년 14.9% 등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특히 2009년부터는 국내 통화량(M2)보다 훨씬 높은 증가율을 기록,시중 자금을 대거 흡수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저금리 등의 영향으로 증가세는 만기가 짧은 상품에 더 집중됐다. 전체 정기 예 · 적금에서 만기 2년 미만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90.3%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0년대 이후 가장 컸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위기 때 정기 예 · 적금이 늘어난 이유가 고금리의 매력이었다면,지난해는 낮은 금리에도 유동성이 풍부했기 때문에 정기 예 · 적금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정재형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