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 중 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 등 3개 은행이 지난해 임금을 2% 소급 인상키로 합의했다. 2008년 동결,2009년 삭감 및 반납에 이어 3년 만에 은행권 임금인상이 이뤄진 셈이다. 그러나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은행은 사측이 임금인상에 난색을 표하면서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또 2009년 20% 삭감된 신입 행원의 임금을 원상복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지난 16일 △작년 임금 2% 인상 △특별보너스 70% 지급 △매달 20만원 상당의 복지카드 지급 등에 합의했다. 국민은행은 작년 임금 인상분을 올해 임금에 반영키로 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작년 임금 2% 인상에 합의했으며,하나은행의 경우 비정규직 임금을 10% 올리기로 했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는 지난해 말 산별교섭에서 "총액 임금 2% 인상을 기준으로 기관별 노사가 상황에 맞게 정한다"는 내용의 임금협상 가이드라인에 합의했었다. 3개 시중은행 모두 산별교섭에서 정한 가이드라인 상의 최소 금액만큼 임금 인상에 합의한 셈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예금보험공사와 맺은 양해각서(MOU)의 내용을 일부 이행하지 못한 점을 들어 사측이 임금인상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각 시중은행 노사는 2008년 리먼브러더스 파산사태에 따른 금융위기로 2009년부터 20% 삭감된 신입 행원의 임금을 원상복귀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기존 행원과 신입 행원 간 임금 차별 등 신입 행원 임금 삭감에 문제가 많다는 공감대가 노사간에 형성돼 있다"며 "다만 금융위기 당시 신입행원 임금삭감을 유도했던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태"라고 말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