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훈의 BIZ VIEW] 이건희 '후보 추천' 정몽구 '기준 제시' …원로들, 許회장 설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허창수 회장 추대 막전막후
구본무·최태원 회장은 "누가 되든 지지하겠다"
규모 큰 기업·60代 기준 3人 압축 후 전방위 접촉
조양호 "동계올림픽 전념", 박용현 "재계 입문 짧아서…"
구본무·최태원 회장은 "누가 되든 지지하겠다"
규모 큰 기업·60代 기준 3人 압축 후 전방위 접촉
조양호 "동계올림픽 전념", 박용현 "재계 입문 짧아서…"
차기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으로 추대된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18일 서울 역삼동 GS타워에서 기자들과 만나 "봉사하는 마음으로 회장직을 열심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회색 캐주얼 재킷에 하늘색 셔츠,연회색 조끼를 입은 허 회장은 특유의 편안한 미소를 지어보였다. 그는 전경련 회장직 수락 배경과 관련, "원로 자문단과 회장단의 요구가 너무 강력해 거절할 수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허 회장의 얘기처럼 이번 전경련 회장 추대와 수락 과정은 재계가 모처럼 한마음으로 뜻을 모아 관철시킨 스토리로 오랫동안 회자될 것으로 보인다. 허 회장과 경쟁관계를 형성할 만한 특정인이 없었으며 비토하는 목소리도 전혀 나오지 않았다.
◆이건희 회장,허창수 회장 추천
당초 전경련이 추대 1순위로 꼽은 인물은 자타가 공인하는 재계 서열 1위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이었다. 회장단은 지난해 7월 조석래 현 회장이 지병을 이유로 전경련 회장직 사퇴 의사를 밝히자 두 차례나 이 회장을 찾아가 회장직 수락을 읍소하다시피 했다. 이 회장은 즉석에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우회적인 화법과 간접적인 경로로 전경련을 맡기 어렵다는 생각을 완곡하게 전달했다. 당시 경영에 복귀한 지 얼마 되지않은 시점에서 애플과의 '스마트 전쟁'에 올인하고 있던 이 회장 입장에선 다른 곳에 눈을 돌릴 겨를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회장은 회장단이 차기 수장을 추천해달라는 요청에 일부 총수들을 직접 거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허창수 회장의 이름도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정몽구 회장 "기업 규모 갖춘 60대 총수"
이건희 회장을 설득하는 일이 어렵게 되자 회장단은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쪽으로 발길을 돌렸다. 항간에는 정 회장이 과거 전경련 회장직을 10년이나 맡았던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을 생각해 전경련에 적잖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기도 했다. 여기에 연초 서울 양재동 사옥을 방문하겠다는 전경련 회장단의 요청을 정 회장이 선선히 수락하자 그 기대감은 더욱 높아졌다. 하지만 1시간30분여에 걸친 만남은 정 회장의 거절로 무위로 끝나고 말았다. 미련을 버리기 어려웠던 회장단은 회동 직후 엘리베이터를 타고 배웅을 나온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에게 "아버지를 한번 더 설득해달라"고 거듭 요청했지만 정 부회장은 "아버지가 지금 벌여놓은 자동차 사업에 워낙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어 어려울 것 같다"는 대답을 듣고 돌아서야 했다. 정 회장은 스스로 고사하면서도 이건희 회장처럼 차기 전경련 회장 추대에 대한 나름대로의 기준은 설명했다고 한다. 이 회장과 다른 점이 있었다면 실명을 거론하는 대신 "연륜을 갖춘 60대 연령의 회장 중 기업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야 한다"는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했다는 것.허 회장은 이런 기준으로 보더라도 적임자로 평가할 수 있다.
◆조양호 · 박용현 회장 "사정이 있다"
구본무 LG 회장과 최태원 SK 회장은 별도의 주문이나 조건 없이 "새 회장이 누가 되든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혀온 터라서 입체적 의견수렴에 대한 전경련 사무국의 부담을 덜어줬다.
물론 허 회장이 유일한 추대후보였던 것은 아니다. 조양호 한진 회장과 박용현 두산 회장도 유력한 후보였다. 하지만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 회장의 경우 올림픽 유치가 성사될 경우 대회 조직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점이 걸림돌이었다. 조 회장은 자신이 처한 상황을 설명하면서 "70세쯤 되면 (전경련 회장직 수행을) 생각해보겠다"며 양해를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은 재계에 투신한 기간이 너무 짧다는 이유로 고사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그는 2004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장을 지냈으며 2007년에야 두산건설 회장을 맡으며 기업 경영을 시작했다. 두산그룹 회장직을 맡은 것은 2009년부터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