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의 전반기와 후반기를 대표하는 화두는 각각 '비즈니스 프렌들리'(친기업적 정책)와 '공정사회'다. 노무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실망한 국민이 실용주의 노선을 지향하는 이명박 정부를 선택한 결과,전반기의 국정 모토도 이에 걸맞은 비즈니스 프렌들리였다. 2008~2009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서민생활과 중소기업 운영이 어려워지자 이명박 정부는 2010년 들어 정권 후반기 국정과제로 '약자에 대한 배려'를 핵심으로 한 '공정사회'를 내세웠다.

이번 여론조사에선 이 두 가지 정책기조 모두 좋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 '비즈니스 프렌들리 정책 기조가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한 사람이 42.3%로 '그렇다'는 답(33.5%)보다 많았다. 직업군 별로는 화이트칼라,가정주부,자영업자 등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비즈니스 프렌들리 기조가 '잘 유지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많았다.

'공정사회'에 대해서도 '기회균등' '약자에 대한 배려' '공직자에 대한 높은 도덕성 요구'라는 순기능보다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는 포퓰리즘적인 정책이 쏟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앞으로 순기능이 강화돼 더욱 공정한 사회가 될 것'이라는 응답은 24.3%에 불과한 반면 '대중의 인기를 얻기 위해 포퓰리즘적 정책이 남발될 것'이라는 답이 50.1%에 달했다.

특히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20~30대 젊은 연령층도 '공정사회=포퓰리즘'의 등식이 성립되는 것을 우려했다. 20대 응답자들은 16.9%가 순기능을,56.1%는 역기능을 꼽았다. 30대 응답자는 67.9%가 역기능을 지적했다. 세대 소득 기준에 따라서도 월 소득이 200만원 이하인 세대를 제외한 모든 계층이 공정사회 정책기조의 부작용이 더 많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명박 정부가 국민여론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반영을 안한다'가 62.9%로 '잘 반영하고 있다'(27.0%)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