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건강,직업,가족….' 은퇴 이후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은퇴자들은 건강을 꼽은 반면 아직 직업을 갖고 사회활동을 하는 '현역'들은 돈을 건강보다 우선시했다. 또 은퇴 후 필요한 생활자금에 대해선 은퇴자가 현역보다 훨씬 더 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이 지난 17일 삼성자산운용 주최로 열린 '행복설계 설명회'에 참가한 투자자 173명(은퇴자 105명,현역 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은퇴자의 39.0%가 건강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이어 은퇴자금(29.5%),친목 · 사회생활(11.4%),재취업(9.5%),가족관계(9.5%)순이었다. 반면 현직은 은퇴자금이 44.1%로 건강(37.4%)보다 높았다.

우재룡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은 "현직에 있는 이들이 나이가 더 적어 건강보다는 은퇴자금을 더 중요시하지만 실제 은퇴자에게 피부로 와닿는 것은 돈보다 건강"이라며 "행복한 노후를 설계하는 기본은 돈과 건강,원만한 가족관계,삶의 활력을 위한 일거리,취미생활 등 5가지 요소가 고루 갖춰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은퇴 후 2인 가족의 월 생활자금 규모에서 은퇴자는 400만~500만원(29.4%)을 적정액이라고 응답했으나 현직은 200만~300만원(30.2%)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최형준 한국투자증권 퇴직연금연구소 차장은 "은퇴한 뒤에도 관성적으로 과거처럼 생활하고 싶은 욕구가 커 은퇴자가 생각하는 적정 월소득 규모가 더 큰 것 같다"며 "씀씀이를 줄이고 제2의 직업을 갖는 등 은퇴 후 삶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한다면 월 200만~300만원 정도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은퇴 준비가 부족했던 이유로 은퇴자(33.3%)와 현역(42.9%) 모두 '자녀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은퇴자는 이어 '필요성 인식 부족'과 '생활비 부담'(각 23.3%)을,현역은 '적은 소득수준'(17.1%)과 '생활비 부담'(15.7%)을 이유로 들었다.

강창희 미래에셋 퇴직연금연구소장은 "교육비 탓에 노후준비를 제대로 못하는 게 한국의 특수상황"이라며 "부모가 모든 것을 감당하기보다는 적절한 선에서 자녀를 지원하고 노후준비를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민제 기자 pmj5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