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산천 수출에도 '타격'..노조 "인력감축 탓"

최근 KTX의 탈선사고, 고장 등이 잇따르면서 개통 8년차를 맞은 한국 고속철도의 안전대책을 종합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1일 발생한 광명역 KTX 탈선사고로 정부가 특별점검에 나선 가운데 KTX 고장ㆍ사고가 연거푸 다시 발생, 승객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국형 고속철도인 'KTX-산천'은 브라질, 미국 등으로 수출을 추진하고 있어 적지않은 타격이 우려된다.

◇끊이지 않는 KTX 사고 = 26일 오전 9시27분께 동대구역을 출발한 KTX-산천 354호 열차가 김천 구미역 인근에서 기관 출력 이상으로 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대전역에 예정시각보다 26분 지연 도착했다.

기관고장 사실을 접한 코레일은 대전역에서 대기중이던 다른 비상열차로 600여명의 승객들을 환승시켰고 비상열차는 오전 10시28분께 다시 출발했으나 서울역에는 예정보다 39분이 늦었다.

하루전인 25일 오전 8시24분께는 부산에서 서울로 향하던 KTX 106호 열차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부근에서 열 감지센서 오작동으로 멈춰 서며 40여 분간 열차 운행이 지연됐다.

이들 사고는 국토해양부가 광명역 KTX 탈선사고를 계기로 철도기술연구원, 교통안전공단, 외부전문가 등과 합동점검반을 편성, KTX 고장실태 등 운영 적정성 여부를 점검하던 중에 일어났다.

지난 11일 고속철도 광명역에서는 노후케이블 교체 공사업체의 너트 분실, 코레일 직원의 엉터리 임시조치 등 잇따른 실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선로전환기가 오작동, 고속철도 개통 이후 처음으로 KTX가 탈선했다.

앞서 지난 6일에도 부산역에서 서울발 KTX-산천 열차가 출발 직전 배터리가 고장나는 바람에 다른 열차로 교체되는 등 크고 작은 고장.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KTX-산천' 결함없나?..수출 차질 우려 = 해외 수출을 추진중인 한국형 고속열차 'KTX-산천'의 기계적 결함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KTX-산천은 국내 유일의 철도차량 제작업체인 ㈜현대로템이 세계 4번째로 개발한 고속열차다.

기존 KTX는 프랑스 알스톰이 직접 제작했거나 국내서 조립한 것인 반면, KTX-산천은 국산화율이 87%에 이른다.

하지만 지난해 3월 첫 투입된 이후 KTX-산천은 그동안 크고 작은 결함으로 잦은 고장을 일으켜 왔다.

올해 들어 발생한 4건의 KTX 사고 가운데 3건이 KTX-산천에서 발생했다.

국회 국토해양위 박순자 의원이 최근 공개한 자료를 보면 KTX-산천은 지난 한해에만 15건의 고장을 일으켰다.

지난해 11월13일에는 시험운전 도중 국내 최장터널인 금정터널(20.3km) 안에서 모터블록 고장으로 반나절 이상 멈춰서기도 했다.

문제는 고장이 '모터블록'이나 '제동장치', '배터리' 등 KTX 열차를 움직이고 멈추는 핵심장치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모터블록은 전기량을 조절해 열차 바퀴를 움직이는 주요 전동장치이다.

현재 KTX-산천은 190억달러에 이르는 브라질 고속철도와 미국 캘리포니아 고속철도 건설 수주전에 뛰어든 상태다.

고속철도 건설에 참여했던 한 철도관계자는 "IMF 외환위기 시절 국내 철도관련 회사들이 한 곳으로 통폐합(빅딜)되며 경쟁자 없이 KTX-산천이 개발되다보니 기술력 부분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며 "기술적 점검과 보완이 더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운행, 설비 등 총체적 점검 필요.

.노조 "인력감축 탓" = 잦은 KTX 고장과 사고에 따른 국민들의 불안감을 덜기 위해서는 운전, 관제, 설비, 신호 등 철도 운행체계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코레일은 최근 몇년 새 인력운영 효율화 등을 위해 현장 유지보수 인력과 평상시 검사 횟수를 대폭 줄이고 있어 최근 잇따르고 있는 KTX 관련 사고와 고장이 유지보수, 정비 불량 등에 따른 것 아니냐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전국철도노조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일괄 감축된 정원 5천115명 가운데 차량 분야 1천203명을 비롯해 시설 989명, 전기 766명 등 현장 유지보수 인력이 57.9%인 2천958명에 이르고 있다.

정원 감축으로 ▲KTX 운행점검(3천500km→5천km) ▲신형전기기관차(2일→7일 또는 5천km 이후) ▲신호설비(2주 점검→월 점검) ▲무선설비(일일점검 폐지) 등 각 분야의 상시적인 점검 횟수가 줄었다.

최근에는 경춘선과 전라선 구례사업소 구간(곡성 금지∼순천 개운), 수도권 광역철도 덕소사업소 구간(중앙선 도농∼양수) 등의 시설 유지보수 업무를 민간 외부업체에 위탁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철도노조 한 관계자는 "경영효율화 명목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장 유지보수 인력의 대폭적인 감축과 외주화는 철도운행의 기본인 안전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코레일 관계자는 "면밀한 업무량 분석과 노사간 협의를 거쳐 인력과 업무 등을 조정하는 것이어서 열차 고장 등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다"며 "KTX 고장에 따른 국민들의 불안과 불편이 없도록 철도운영 시스템 전반을 점검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윤석이 기자 seoky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