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진실과 정의 위원회' 설치 계획

브라질 군사독재정권(1964~1985년)의 피해자인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이 과거사 청산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호세프 대통령은 군정 시절 반(反) 정부 투쟁 조직에서 활동하다 1970년 체포돼 3년간 수감 생활을 하며 고문을 당하는 등 고초를 겪은 인물이다.

28일 브라질 일간지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에 따르면 넬손 조빙 국방장관과 조제 에두아르도 카르도조 법무장관, 마리아 도 로자리오 인권장관은 조만간 의회 지도자들을 만나 '진실과 정의 위원회' 설치에 관해 협의할 예정이다.

올해 상반기 중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는 이 위원회는 군정 시절 사망자와 실종자, 고문 피해자들에 대한 조사를 담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위원회 설치안은 애초 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전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의회에 제출했으나 처리되지 못했다.

룰라 전 대통령은 당시 "위원회는 군정 시절 저질러진 인권탄압 행위의 진상을 규명하고 국민적 화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로자리오 장관은 "호세프 대통령이 '진실과 정의위원회'를 설치하려는 것은 과거사 청산을 위한 것이며, 사면법을 무효로 하는 등의 조치는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브라질 정부는 군정 치하에서 475명의 주민이 보안군에 의해 살해되거나 실종됐다는 조사 결과를 지난 2009년 내놓은 바 있다.

브라질 군정은 1970년대 남미 지역에서 벌어진 이른바 '콘도르 작전'에도 참여했다.

'콘도르 작전'은 1975년부터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 6개국 군정 정보기관들의 합의로 자행됐으며, 반체제 성향의 사회·노동운동가, 지식인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추적.납치.살해 행위를 저질렀다.

브라질은 지난 1979년 군정 치하 민간 관리와 군인들이 저지른 범죄 혐의를 면책하는 사면법을 제정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fidelis21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