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납품업체 27%, 납품단가인하 압력 경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백화점 등 대형마트에 물품을 납품하는 중소기업중 4분의1 이상이 납품단가 인하 요구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일 백화점과 할인점,홈쇼핑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15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소매점이 단가 인하를 요구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26.7%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소매점이 요구하는 인하율은 ‘10~15%’가 37.5%로 가장 많았고 ‘5% 미만’(25%),‘5~10%’(22.5%) 등이 뒤를 이었다.‘20% 이상 깍아달라’는 답도 12.5%에 달했다.그에 따른 실제 납품단가 인하율은 ‘5% 미만’이 35%였고 ‘5~10%’,‘10~15%’가 각각 25%, 20% 이상은 12.5%였다.
인하 요구가 들어온 시기는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발표 이전’(60%)이 ‘발표 이후’(40%)보다 많았다.정부의 물가 억제 이전부터 물가 인하 요구가 수시로 이어져왔다는 얘기다.인하를 강요하는 요인으로 ‘유통업체 간 가격경쟁’(60%)이 가장 많이 꼽혔고 ‘납품물량 증대’(27.5%),‘정부 정책에 따른 부담 전가’(5%) 등이 뒤를 이었다.이밖에 납품 중소기업의 29.3%는 대규모 소매점으로부터 ‘불공정 거래행위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고 답변했다.불공정 거래 행위 유형(복수응답)으로는 특판행사 참여 강요와 광고비 등판촉비용 부담 전가,매장 위치 및 인테리어 변경요구(13.6%) 등이 지적됐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
중소기업중앙회는 1일 백화점과 할인점,홈쇼핑에 납품하는 중소기업 15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소매점이 단가 인하를 요구한 적이 있다’는 응답이 26.7%로 나타났다고 밝혔다.소매점이 요구하는 인하율은 ‘10~15%’가 37.5%로 가장 많았고 ‘5% 미만’(25%),‘5~10%’(22.5%) 등이 뒤를 이었다.‘20% 이상 깍아달라’는 답도 12.5%에 달했다.그에 따른 실제 납품단가 인하율은 ‘5% 미만’이 35%였고 ‘5~10%’,‘10~15%’가 각각 25%, 20% 이상은 12.5%였다.
인하 요구가 들어온 시기는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발표 이전’(60%)이 ‘발표 이후’(40%)보다 많았다.정부의 물가 억제 이전부터 물가 인하 요구가 수시로 이어져왔다는 얘기다.인하를 강요하는 요인으로 ‘유통업체 간 가격경쟁’(60%)이 가장 많이 꼽혔고 ‘납품물량 증대’(27.5%),‘정부 정책에 따른 부담 전가’(5%) 등이 뒤를 이었다.이밖에 납품 중소기업의 29.3%는 대규모 소매점으로부터 ‘불공정 거래행위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고 답변했다.불공정 거래 행위 유형(복수응답)으로는 특판행사 참여 강요와 광고비 등판촉비용 부담 전가,매장 위치 및 인테리어 변경요구(13.6%) 등이 지적됐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