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손해율이 2개월 연속 하락하며 6개월 만에 70%대로 떨어졌다. 겨울 한파가 수그러들면서 자동차 사고가 줄어든 데다 기름값이 치솟으면서 자동차 운행이 줄어든 때문으로 풀이된다.

7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13개 주요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74.2%로 집계됐다. 손해율이 80% 밑으로 내려간 것은 작년 8월 이후 6개월 만이다. 손해율은 고객이 낸 보험료 중 보험금으로 지급되는 비율로,통상 손보사들은 손해율 71~72%를 손익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지난해 8월 81.6%를 넘어선 뒤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6개월 연속 80%를 웃돌았다. 지난해 12월에는 90%마저 돌파했지만 올해 1월 84.2%로 떨어진 데 이어 2월 70%대로 내려갔다. 2월 손해율이 크게 내려간 것은 자동차 사고가 많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에는 이상 한파로 인해 자동차 사고가 늘었지만 2월 들어 기온이 높아지면서 사고가 줄었다"며 "유가가 상승하면서 운전자들이 자동차 운행을 줄인 것도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사고가 많은 설 연휴도 기간이 길어 차량 운행이 분산됐고,구제역 파동으로 차량 이동을 제한한 것도 손해율 하락 요인으로 꼽힌다. 운전자의 사고 책임을 엄격하게 묻는 자동차보험 제도 개선안이 지난달부터 시행된 것도 손해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