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공무원·군인연금 충당부채도 국가채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정통계 기준 개편 강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7일 "국가채무에 대한 논란이 큰 상황에서 국제기준에 부합하고 재정통계 불일치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통계기준을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질의를 통해 "국가채무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킨 공기업 부채도 (국가채무에서) 빠졌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충당부채는 국제기준으로 국가채무에 포함하도록 돼 있다"며 "2009년 기준으로 양 연금의 적자를 보전하는 데 2조8000억원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또 "모든 공기업 부채를 국가채무에 포함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우리나라는 공기업의 정부사업 참여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공기업 부채 중 정부사업에 참여해 발생하는 것이 얼마인지 구분 계리(회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가채무 규모가 선진국에 비해 크지 않지만,증가 속도가 가파르고 저출산 문제 등을 고려할 때 걱정스럽다"며 "나중에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빚이 얼마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적연금의 충당부채를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공식적으로 국가부채에 포함하면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의 채무 상태가 나쁜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답변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
박 전 대표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 질의를 통해 "국가채무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킨 공기업 부채도 (국가채무에서) 빠졌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충당부채는 국제기준으로 국가채무에 포함하도록 돼 있다"며 "2009년 기준으로 양 연금의 적자를 보전하는 데 2조8000억원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는 또 "모든 공기업 부채를 국가채무에 포함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우리나라는 공기업의 정부사업 참여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공기업 부채 중 정부사업에 참여해 발생하는 것이 얼마인지 구분 계리(회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국가채무 규모가 선진국에 비해 크지 않지만,증가 속도가 가파르고 저출산 문제 등을 고려할 때 걱정스럽다"며 "나중에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빚이 얼마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적연금의 충당부채를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다만 공식적으로 국가부채에 포함하면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의 채무 상태가 나쁜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답변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