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 “서류 필터링 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속보]기업 10곳 중 7곳은 서류전형 시 특정 조건에 따라 지원자를 선별하는 필터링을 실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240명을 대상으로 ‘서류전형 필터링 여부’를 조사한 결과 69.2%가 ‘필터링을 실시한다’라고 답했다.필터링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인재상에 맞는 지원자를 선별하기 위해서’가 68.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이어 △‘시간 낭비를 막기 위해서’(42.2%) △‘거품 지원자를 걸러내기 위해서’(34.3%) △‘지원자 수가 너무 많아서’(13.3%) △‘객관적인 검증 방법이라서’(13.3%) △‘고스펙의 지원자를 뽑기 위해서’(7.2%) 등의 응답이 있었다.
필터링 항목으로는 ‘경력’(59%,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으며 ‘전공’(54.2%)이 뒤를 이었다.계속해서 △‘나이’(50%) △‘학력’(35.5%) △‘외국어 점수’(22.9%) △‘자격증’(21.1%) △‘학점’(15.7%) △‘출신학교’(15.1%) 등이 있었다.
필터링으로 선별되는 지원자의 비율은 평균 38%로 집계됐다.또 현재 필터링을 실시하는 기업의 99.4%가 ‘앞으로도 서류전형에서 필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필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기업은(74개사) 그 이유로 ‘스펙만으로 평가하지 않아서’(4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다음으로 △‘인재상에 맞는 지원자를 찾기 위해서’(32.4%) △‘지원자 수가 많지 않아서’(31.1%) △‘우수 인재의 유실을 막기 위해서’(23%) △‘심층 면접을 진행할 계획이라서’(18.9%) △‘필터링 시스템을 갖출 여건이 안돼서’(17.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최근 효율적인 채용 진행을 위해 필터링 제도를 활용하는 기업들이 많다”며 “필터링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사전에 목표기업을 정해두고 해당 기업이 원하는 자격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한 후 이에 맞춰 서류전형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 240명을 대상으로 ‘서류전형 필터링 여부’를 조사한 결과 69.2%가 ‘필터링을 실시한다’라고 답했다.필터링을 실시하는 이유로는 ‘인재상에 맞는 지원자를 선별하기 위해서’가 68.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이어 △‘시간 낭비를 막기 위해서’(42.2%) △‘거품 지원자를 걸러내기 위해서’(34.3%) △‘지원자 수가 너무 많아서’(13.3%) △‘객관적인 검증 방법이라서’(13.3%) △‘고스펙의 지원자를 뽑기 위해서’(7.2%) 등의 응답이 있었다.
필터링 항목으로는 ‘경력’(59%,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으며 ‘전공’(54.2%)이 뒤를 이었다.계속해서 △‘나이’(50%) △‘학력’(35.5%) △‘외국어 점수’(22.9%) △‘자격증’(21.1%) △‘학점’(15.7%) △‘출신학교’(15.1%) 등이 있었다.
필터링으로 선별되는 지원자의 비율은 평균 38%로 집계됐다.또 현재 필터링을 실시하는 기업의 99.4%가 ‘앞으로도 서류전형에서 필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필터링을 실시하지 않는 기업은(74개사) 그 이유로 ‘스펙만으로 평가하지 않아서’(4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다음으로 △‘인재상에 맞는 지원자를 찾기 위해서’(32.4%) △‘지원자 수가 많지 않아서’(31.1%) △‘우수 인재의 유실을 막기 위해서’(23%) △‘심층 면접을 진행할 계획이라서’(18.9%) △‘필터링 시스템을 갖출 여건이 안돼서’(17.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최근 효율적인 채용 진행을 위해 필터링 제도를 활용하는 기업들이 많다”며 “필터링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사전에 목표기업을 정해두고 해당 기업이 원하는 자격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한 후 이에 맞춰 서류전형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