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망한 해외투자상품] G2 랩어카운트 주목…미국 제조업 경기회복·中 성장지속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표 간접투자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랩어카운트가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국내 증시의 조정이 생각보다 길어지면서 해외지역까지 투자대상을 넓히는 모습이다.
◆해외 랩어카운트 'G2'에 주목
증권사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세계 경제를 이끄는 핵심축인 미국과 중국(G2)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일 기준 업계 최초로 해외 랩어카운트 잔고가 1000억원을 넘어섰다. 이 증권사는 'G2주식랩어카운트' '차이나주식랩어카운트' '글로벌컨슈머주식랩어카운트' 등 3종의 상품을 출시했다. G2주식랩어카운트는 미국과 중국의 업종대표 기업에 분산투자하고,차이나주식랩어카운트는 중국 업종대표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글로벌컨슈머주식랩어카운트는 세계 소비재 관련 주식에 투자하며,이들 상품의 운용은 미래에셋자산운용 현지법인이 맡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해 11월 중국 소비성장 수혜주에 투자하는 '니하오차이나랩'을 출시한 데 이어,지난달 28일부터는 미국 금융주에 주로 투자하는 '헬로유에스에이랩'을 판매하고 있다. 삼성증권도 지난달 중국 1위의 자산운용사인 화샤기금의 자문을 받는 '중국소비성장포트폴리오'를 내놨고,이달에는 미국 레그메이슨과 손잡고 미국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랩을 출시할 계획이다.
김현규 삼성증권 투자컨설팅팀 연구원은"미국은 작년 4분기부터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살아나는 모습이고,중국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긴축 우려로 조정을 받고 있지만 장기 성장성에는 이견이 없다"고 전했다.
이 밖의 지역으로 우리투자증권이 출시한 'MIKT ETF랩'이 있다.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시장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으로 미국 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관련 국가의 ETF를 매매한다.
◆가입비용 부담 땐 해외ETF가 대안
해외 랩어카운트 투자의 장점으로는 세금문제도 꼽힌다. 해외 랩어카운트는 직접투자로 분류돼 22%의 양도소득세를 내면 되지만,해외펀드를 통해 얻은 수익은 배당소득으로 잡혀 수익이 4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 38.5%의 종합과세를 받는다.
다만 랩어카운트의 경우 환율 헤지(위험 회피)를 할 수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1000원의 환율로 랩에 투자한 사람은 수익이 두 배가 되더라도,환율이 500원으로 떨어지면 남는 게 없게 된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해외 랩어카운트 'G2'에 주목
증권사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세계 경제를 이끄는 핵심축인 미국과 중국(G2)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일 기준 업계 최초로 해외 랩어카운트 잔고가 1000억원을 넘어섰다. 이 증권사는 'G2주식랩어카운트' '차이나주식랩어카운트' '글로벌컨슈머주식랩어카운트' 등 3종의 상품을 출시했다. G2주식랩어카운트는 미국과 중국의 업종대표 기업에 분산투자하고,차이나주식랩어카운트는 중국 업종대표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글로벌컨슈머주식랩어카운트는 세계 소비재 관련 주식에 투자하며,이들 상품의 운용은 미래에셋자산운용 현지법인이 맡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해 11월 중국 소비성장 수혜주에 투자하는 '니하오차이나랩'을 출시한 데 이어,지난달 28일부터는 미국 금융주에 주로 투자하는 '헬로유에스에이랩'을 판매하고 있다. 삼성증권도 지난달 중국 1위의 자산운용사인 화샤기금의 자문을 받는 '중국소비성장포트폴리오'를 내놨고,이달에는 미국 레그메이슨과 손잡고 미국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랩을 출시할 계획이다.
김현규 삼성증권 투자컨설팅팀 연구원은"미국은 작년 4분기부터 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가 살아나는 모습이고,중국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긴축 우려로 조정을 받고 있지만 장기 성장성에는 이견이 없다"고 전했다.
이 밖의 지역으로 우리투자증권이 출시한 'MIKT ETF랩'이 있다. 멕시코 인도네시아 한국 터키 시장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으로 미국 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관련 국가의 ETF를 매매한다.
◆가입비용 부담 땐 해외ETF가 대안
해외 랩어카운트 투자의 장점으로는 세금문제도 꼽힌다. 해외 랩어카운트는 직접투자로 분류돼 22%의 양도소득세를 내면 되지만,해외펀드를 통해 얻은 수익은 배당소득으로 잡혀 수익이 4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 38.5%의 종합과세를 받는다.
다만 랩어카운트의 경우 환율 헤지(위험 회피)를 할 수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1000원의 환율로 랩에 투자한 사람은 수익이 두 배가 되더라도,환율이 500원으로 떨어지면 남는 게 없게 된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