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삼성 공격해 이익공유제 '불씨 살리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색깔론으로 보지 말라" 역공…'정치적 효과' 노림수 분석도
전경련도 입장 난처해져…재계 "청와대가 입장 밝혀야"
전경련도 입장 난처해져…재계 "청와대가 입장 밝혀야"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기업과 기업 간에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선을 그으면서 사그라질 조짐을 보였던 이익공유제 논란이 이건희 삼성 회장과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의 공방으로 재점화되고 있다.
정 위원장은 11일 발표자료를 통해 이익공유제 추진 의사를 굽히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익공유제라는 말은 들어보지도 못했고 이해도 안 가고 도무지 무슨 말인지도 모르겠다"는 이 회장의 지난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단회의 발언과 관련해 "색깔론이나 이념의 잣대로 이익공유제를 보지 말아야 한다"고 응수했다.
◆정 위원장의 노림수 뭔가
재계에서는 동반성장위의 대응 수위가 예상보다 강경한 만큼 이익공유제 등 동반성장 이슈를 둘러싼 진통이 더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 위원장 입장에선 폭넓은 세를 얻기가 어려웠던 이익공유제 논란에 이 회장이라는 '거물'을 끌어들임으로써 이슈의 폭발성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는 관측이다. 이 회장 발언 직후 곧장 자료를 배포한 데서도 이 같은 기류를 엿볼 수 있다. 동시에 이 회장과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을 연출함으로써 개인적으로 거둬들이는 '정치적 효과'도 작지 않다는 분석이다.
재계는 정 위원장의 발언 수위가 높아지고 이익공유제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 확대되면서 점차 긴장 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민간 위원회인 동반성장위의 방침이 어느 정도의 구속력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정부와 청와대가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이 이슈를 방치하면 건설적인 협력을 약속했던 정부와 재계의 관계가 급속히 냉각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경련은 입장은 다소 애매해졌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상황이 이렇게 된 이상 전경련이 입장을 밝히지 않을 수 없게 됐다"며 "허창수 회장 취임 이후 원만한 대정부 관계를 지향하려 했던 전경련의 입장이 난처해졌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전경련은 이익공유제와 관련,"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만큼 입장을 밝히기 이르다"고 설명해왔다.
삼성도 마찬가지다. 재계 관계자는 "이익공유제 이슈가 본격 점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정 위원장이 삼성의 성과급제에서 이익공유제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힌 만큼 자칫 삼성이 논란의 중심에 설 수도 있는 상황이 돼버렸다"고 말했다.
◆확산되는 이익공유제 논란
이익공유제는 정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처음 제시한 방안이다. 당시 정 위원장은 "대기업이 거둔 이익의 공유 대상을 주주와 임직원뿐만 아니라 이익 발생에 기여한 협력기업에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계는 즉각 반발했다. 시장경제 원리에 반한다는 게 재계의 논리였다.
정 위원장은 2일 기자간담회를 자청,구체적인 실행 방법론을 제시했다. 대기업들의 실적이 '연초 설정한 이익 목표'를 넘어설 경우 초과분으로 기금을 조성하자는 게 핵심이었다. 이때부터 이익공유제는 전국적인 이슈가 됐다. 대기업뿐 아니라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최 장관 등 정 · 관계 인사들까지 이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재계 관계자는 "정 위원장이 이익공유제에 대한 세부 내용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때부터 대기업과 동반성장위의 본격적인 힘겨루기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정 위원장은 11일 발표자료를 통해 이익공유제 추진 의사를 굽히지 않겠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익공유제라는 말은 들어보지도 못했고 이해도 안 가고 도무지 무슨 말인지도 모르겠다"는 이 회장의 지난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단회의 발언과 관련해 "색깔론이나 이념의 잣대로 이익공유제를 보지 말아야 한다"고 응수했다.
◆정 위원장의 노림수 뭔가
재계에서는 동반성장위의 대응 수위가 예상보다 강경한 만큼 이익공유제 등 동반성장 이슈를 둘러싼 진통이 더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 위원장 입장에선 폭넓은 세를 얻기가 어려웠던 이익공유제 논란에 이 회장이라는 '거물'을 끌어들임으로써 이슈의 폭발성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는 관측이다. 이 회장 발언 직후 곧장 자료를 배포한 데서도 이 같은 기류를 엿볼 수 있다. 동시에 이 회장과 대립각을 세우는 모습을 연출함으로써 개인적으로 거둬들이는 '정치적 효과'도 작지 않다는 분석이다.
재계는 정 위원장의 발언 수위가 높아지고 이익공유제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도 확대되면서 점차 긴장 수위를 높여가는 모습이다. 한 재계 관계자는 "민간 위원회인 동반성장위의 방침이 어느 정도의 구속력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정부와 청와대가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이 이슈를 방치하면 건설적인 협력을 약속했던 정부와 재계의 관계가 급속히 냉각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경련은 입장은 다소 애매해졌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상황이 이렇게 된 이상 전경련이 입장을 밝히지 않을 수 없게 됐다"며 "허창수 회장 취임 이후 원만한 대정부 관계를 지향하려 했던 전경련의 입장이 난처해졌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전경련은 이익공유제와 관련,"구체적인 내용이 없는 만큼 입장을 밝히기 이르다"고 설명해왔다.
삼성도 마찬가지다. 재계 관계자는 "이익공유제 이슈가 본격 점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정 위원장이 삼성의 성과급제에서 이익공유제의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힌 만큼 자칫 삼성이 논란의 중심에 설 수도 있는 상황이 돼버렸다"고 말했다.
◆확산되는 이익공유제 논란
이익공유제는 정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처음 제시한 방안이다. 당시 정 위원장은 "대기업이 거둔 이익의 공유 대상을 주주와 임직원뿐만 아니라 이익 발생에 기여한 협력기업에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계는 즉각 반발했다. 시장경제 원리에 반한다는 게 재계의 논리였다.
정 위원장은 2일 기자간담회를 자청,구체적인 실행 방법론을 제시했다. 대기업들의 실적이 '연초 설정한 이익 목표'를 넘어설 경우 초과분으로 기금을 조성하자는 게 핵심이었다. 이때부터 이익공유제는 전국적인 이슈가 됐다. 대기업뿐 아니라 홍준표 한나라당 의원,최 장관 등 정 · 관계 인사들까지 이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재계 관계자는 "정 위원장이 이익공유제에 대한 세부 내용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때부터 대기업과 동반성장위의 본격적인 힘겨루기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