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카페] 제조원가 70~80% 제품개발 단계서 결정…'설계 최적화'가 해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변혁기의 혁신 전략(1)
원가 경쟁력의 확보는 어느 산업,어느 기업이나 피해 갈 수 없는 숙제다. 특히 요즘처럼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는 환경에서 기업들은 생존을 위한 원가 경쟁력 확보에 더욱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 중에서도 설계 분야에서의 원가절감 활동은 특히 효과가 크다. 전체 제조원가의 70~80%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기업들은 설계 변경에 대한 기술적 제약과 고객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 등으로 설계 변경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 그러나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차별적 제품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설계부문의 혁신 활동으로 제조원가를 최적화해야 한다.
◆항공 · 우주분야를 혁신한 DTC
제품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설계 최적화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이미 개발돼 있다. 제품개발 초기단계에서 여러 부서가 같이 참여,고객의 니즈를 반영하는 제품 컨셉트를 개발하고 제품 수명 주기의 모든 요소를 고려하는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이 그 예다.
2000년대 들어 대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추진됐던 DTC(design-to-cost)도 설계 관점에서 원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기법 가운데 하나다. DTC 활동은 제품의 원가 목표를 그룹별로 설정하고 가치분석,가치공학,역공학(reverse engineering) 등 여러 방법론을 적용해 원가절감 목표를 달성한다. DTC는 냉전 시대가 지나고 국방비가 현저히 줄어들자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았던 항공 · 우주 관련 기업들이 여러 혁신 활동을 전개하면서 발전시킨 기법이다.
◆원가절감 · 성장의 전략적 도구
정밀 공작기계를 만드는 A사는 기존 중국 시장 공략 제품을 대체하는 새로운 3세대 기종을 개발하기 위해 DTC를 적용했다. 이 회사는 10여명의 설계 · 구매 · 품질 · 생산기술 부문의 핵심 인력과 외부 컨설턴트로 전담 태스크포스팀을 구성,일상 업무에서 벗어나 설계 최적화 업무에만 전념하도록 지원했다. 그 결과 1년여 만에 2세대 기종보다 제조 원가를 18% 이상 줄인 3세대 신제품을 내놓을 수 있었다.
DTC 활동시에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창의적 도구를 활용한다. 가치분석이나 품질기능 전개,역공학 등을 활용해 원가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된다. 이 중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경쟁사 제품을 철저하게 분해해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역공학'이다. 경쟁사 제품을 최소 단위까지 분해하고,부품별 기술 및 비용의 차이를 철저히 분석해 문서화하면 경쟁사 솔루션의 잠재적 경쟁우위 요인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건설기계 장비를 생산하는 B사는 역공학을 적용해 장비의 핵심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부품을 분해했다. 이 과정에서 외관상으로 확인이 불가능했던 재질과 제조공법의 비밀을 분석해 원가 절감과 동시에 유압 계통의 고질적 문제도 없애 품질까지 높였다.
김용철 네오플럭스 컨설팅사업본부장
하지만 많은 기업들은 설계 변경에 대한 기술적 제약과 고객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 등으로 설계 변경에 대해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 그러나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차별적 제품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설계부문의 혁신 활동으로 제조원가를 최적화해야 한다.
◆항공 · 우주분야를 혁신한 DTC
제품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설계 최적화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이미 개발돼 있다. 제품개발 초기단계에서 여러 부서가 같이 참여,고객의 니즈를 반영하는 제품 컨셉트를 개발하고 제품 수명 주기의 모든 요소를 고려하는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이 그 예다.
2000년대 들어 대기업에서 성공적으로 추진됐던 DTC(design-to-cost)도 설계 관점에서 원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기법 가운데 하나다. DTC 활동은 제품의 원가 목표를 그룹별로 설정하고 가치분석,가치공학,역공학(reverse engineering) 등 여러 방법론을 적용해 원가절감 목표를 달성한다. DTC는 냉전 시대가 지나고 국방비가 현저히 줄어들자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았던 항공 · 우주 관련 기업들이 여러 혁신 활동을 전개하면서 발전시킨 기법이다.
◆원가절감 · 성장의 전략적 도구
정밀 공작기계를 만드는 A사는 기존 중국 시장 공략 제품을 대체하는 새로운 3세대 기종을 개발하기 위해 DTC를 적용했다. 이 회사는 10여명의 설계 · 구매 · 품질 · 생산기술 부문의 핵심 인력과 외부 컨설턴트로 전담 태스크포스팀을 구성,일상 업무에서 벗어나 설계 최적화 업무에만 전념하도록 지원했다. 그 결과 1년여 만에 2세대 기종보다 제조 원가를 18% 이상 줄인 3세대 신제품을 내놓을 수 있었다.
DTC 활동시에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창의적 도구를 활용한다. 가치분석이나 품질기능 전개,역공학 등을 활용해 원가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된다. 이 중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경쟁사 제품을 철저하게 분해해 개선방안을 수립하는 '역공학'이다. 경쟁사 제품을 최소 단위까지 분해하고,부품별 기술 및 비용의 차이를 철저히 분석해 문서화하면 경쟁사 솔루션의 잠재적 경쟁우위 요인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건설기계 장비를 생산하는 B사는 역공학을 적용해 장비의 핵심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부품을 분해했다. 이 과정에서 외관상으로 확인이 불가능했던 재질과 제조공법의 비밀을 분석해 원가 절감과 동시에 유압 계통의 고질적 문제도 없애 품질까지 높였다.
김용철 네오플럭스 컨설팅사업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