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30]브라질 정부가 환율방어를 목적으로 달러화 차관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달러화 유입 급증으로 올들어 브라질 헤알화가치가 가파른 상승세를 나타내는 데 따른 조치다.

브라질 정부는 헤알화 강세 억제 방안의 하나로 금융기관과 기업이 유치하는 달러화 차관에 대한 금융거래세(IOF)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14일 현지 경제 전문 일간지 발로르가 보도했다.달러화의 폭발적인 유입을 진정시키고 금융기관과 기업의 대외채무를 줄이는 효과를 겨냥한 것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앞서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달러화의 지나친 유입도 문제지만 은행과 기업의 부채가 늘어나는 것도 우려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브라질 정부는 헤알화 가치가 급등하면서 고강도 환율방어 조치를 모색하고 있다.

현지 일간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는 최근 재무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만테가 재무장관과 알레샨드리 톰비니 중앙은행 총재가 환율문제를 협의했으며,새로운 환율방어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시장에서는 카니발 연휴가 끝난 지난 9일 이후로 강도 높은 조치가 나올 것으로 기대해 왔다.

브라질 정부는 지난해 헤알화 과다절상을 막기 위해 투기성 단기자본 유입에 대해 부과하는 IOF 세율을 2%에서 두차례 올려 6%로 상향 조정했다.

중앙은행은 또 지난해 414억 달러를 사들이기도 했다.

한편 브라질은 2014년 월드컵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대서양 연안 심해유전 개발 등 외환 유입 증가 요인이 많아 정부의 환율방어 추가 조치가 실제 효력을 발휘할 지는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