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30]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의 리비아 비행금지구역(no-fly zone) 설정 논의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안보리 결의안 거부권을 갖고 있는 러시아가 이의를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도 반대 입장을 표명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15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유엔 안보리는 지난 14일 미국 뉴욕 본부에서 3시간에 걸쳐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정권의 시민군 공습을 차단하기 위한 비행금지구역 설정 회의를 진행했다. 그러나 합의사항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회의가 끝난 뒤 “비행금지구역을 어떻게 운영하고, 누가 책임질 지에 대한 중대한 문제에 대해 의견들이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그는 “기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답없이 가능한 신속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것은 헛수고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비행금지구역 결의안 초안을 낸 프랑스는 러시아의 계속된 이의제기에도 결의안이 곧 결실을 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제라드 아르도 유엔 주재 프랑스 대사는 “진전을 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가장 큰 문제는 카다피군이 시민군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면서 석유지대를 속속 탈환하고 있는 만큼 얼마나 빨리 조치를 실행하느냐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비행금지구역 설정 책임과 운용 문제에 대해서도 1990년대 보스니아 내전 당시 유엔 안보리는 책임자 설정 없이도 비행금지구역을 가동했다는 사례를 들며 물러서지 않았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