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日지진 최대 수혜주-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투자증권은 15일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해 일본 지진으로 인한 기계업종 최대 수혜주라고 밝혔다.
하석원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일본 지진으로 인해 일본 및 해외 건설중장비업체 부품 수급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며 "이는 코마츠(유압기기 공장,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시), 히타치(이바라키) 등 일본 주요 건설중장비업체 핵심부품 생산공장이 지진 피해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피해 가능성 높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마츠의 경우 일본 11개중 5개 생산공장이 피해지역에 위치해 있다. 특히 일본 업체들은 내수 뿐만 아니라 중국 등 해외 건설중장비업체에게 핵심부품 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부품수급 차질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두산인프라코어는 엔진, 유압, 펌프, 컨트롤 밸브 등 핵심부품을 포함한 부품 자급률이 95%에 달하고 있어 이번 일본 지진이 두산인프라코어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일본 지진으로 인한 기계업종 최대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굴삭기 판매 시장점유율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가장 큰 수요처인 중국에서 일본(코마츠, 히타치, 코벨코, 스미토모 등 총 35.4%, 2010년말 기준)과 한국(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등 총 24.3%)의 굴삭기 판매 시장점유율은 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 애널리스트는 "일본업체들은 지진 피해복구 수요 급증, 부품업체들의 공장 생산중단, 항만 폐쇄로 인한 수출 차질 등을 감안할 경우 중국의 굴삭기 판매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또한 중국업체들도 핵심부품(20톤 이상 유압기기는 전부 수입)을 일본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생산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고 했다.
한편 두산인프라코어의 2월 중국 굴삭기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 각각 91%, 230% 증가한 2404대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과거 5년간 2월 평균 굴삭기 판매대수가 1078대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크게 증가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2월 중국 굴삭기 판매 시장점유율도 전월대비 5.2%p 개선된 11.9%로 2위를 회복했다. 경쟁업체들의 재고 소진, 견조한 중국 굴삭기 수요증가, 성수기 진입(3월부터 5월까지) 등을 고려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의 시장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
하석원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이번 일본 지진으로 인해 일본 및 해외 건설중장비업체 부품 수급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며 "이는 코마츠(유압기기 공장,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시), 히타치(이바라키) 등 일본 주요 건설중장비업체 핵심부품 생산공장이 지진 피해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피해 가능성 높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마츠의 경우 일본 11개중 5개 생산공장이 피해지역에 위치해 있다. 특히 일본 업체들은 내수 뿐만 아니라 중국 등 해외 건설중장비업체에게 핵심부품 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향후 부품수급 차질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두산인프라코어는 엔진, 유압, 펌프, 컨트롤 밸브 등 핵심부품을 포함한 부품 자급률이 95%에 달하고 있어 이번 일본 지진이 두산인프라코어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일본 지진으로 인한 기계업종 최대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중국 굴삭기 판매 시장점유율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가장 큰 수요처인 중국에서 일본(코마츠, 히타치, 코벨코, 스미토모 등 총 35.4%, 2010년말 기준)과 한국(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등 총 24.3%)의 굴삭기 판매 시장점유율은 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 애널리스트는 "일본업체들은 지진 피해복구 수요 급증, 부품업체들의 공장 생산중단, 항만 폐쇄로 인한 수출 차질 등을 감안할 경우 중국의 굴삭기 판매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또한 중국업체들도 핵심부품(20톤 이상 유압기기는 전부 수입)을 일본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생산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고 했다.
한편 두산인프라코어의 2월 중국 굴삭기 판매는 전년동월대비, 전월대비 각각 91%, 230% 증가한 2404대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과거 5년간 2월 평균 굴삭기 판매대수가 1078대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크게 증가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2월 중국 굴삭기 판매 시장점유율도 전월대비 5.2%p 개선된 11.9%로 2위를 회복했다. 경쟁업체들의 재고 소진, 견조한 중국 굴삭기 수요증가, 성수기 진입(3월부터 5월까지) 등을 고려할 경우 두산인프라코어의 시장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