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자위대, 헬기로 후쿠시마 원전 3ㆍ4호기 냉각수 뿌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화재, 폭발로 심각한 상태에 직면한 일본 후쿠시마현 제1 원자력발전소 3·4호기에 대해 17일 오전 자위대 헬기가 동원돼 냉각수 살포가 진행되고 있다.
NHK는 자위대가 이날 오전 9시 50분을 전후해 헬기를 이용해 제1원전 3호기에 물을 뿌리는 장면을 방영했다. 곧이어 4호기에도 살포됐다.
이는 3호기와 4호기의 사용후 핵연료 보관 수조가 냉각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될 경우 연료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NHK가 촬영한 화면에는 후쿠시마 원전 2, 3, 4호기에서 하얀 증기로 보이는 기체가 나오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16일에도 하얀 연기를 내뿜었던 3호기의 경우 이날도 많은 기체를 내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 정부 대책본부는 헬기를 이용한 냉각수 투입 이외에 소방차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작업원들의 피폭 가능성 등으로 인해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NHK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의 경우 그동안 화재, 건물 폭발, 흰연기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켰던 1~4호기뿐 아니라 지진 발생 당시 정기점검 중이었던 5, 6기도 연료보관 수조의 냉각 기능 상실로 위험한 상황이다.
946개의 연료가 보관된 5호기의 경우 지난 16일 수조의 온도가 전날보다 5도C 오른 63도C를, 876개의 연료가 보관된 6호기는 전날보다 4도C 높은 60도C 기록했다.
도쿄전력은 이대로 수온 상승이 계속될 경우 5, 6호기도 3, 4호기와 같이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보고 냉각기능 정상화를 위해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
NHK는 자위대가 이날 오전 9시 50분을 전후해 헬기를 이용해 제1원전 3호기에 물을 뿌리는 장면을 방영했다. 곧이어 4호기에도 살포됐다.
이는 3호기와 4호기의 사용후 핵연료 보관 수조가 냉각되지 않는 상태가 계속될 경우 연료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전 NHK가 촬영한 화면에는 후쿠시마 원전 2, 3, 4호기에서 하얀 증기로 보이는 기체가 나오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16일에도 하얀 연기를 내뿜었던 3호기의 경우 이날도 많은 기체를 내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 정부 대책본부는 헬기를 이용한 냉각수 투입 이외에 소방차를 이용한 냉각수 공급 방안도 검토하고 있지만, 작업원들의 피폭 가능성 등으로 인해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NHK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의 경우 그동안 화재, 건물 폭발, 흰연기 발생 등의 문제를 일으켰던 1~4호기뿐 아니라 지진 발생 당시 정기점검 중이었던 5, 6기도 연료보관 수조의 냉각 기능 상실로 위험한 상황이다.
946개의 연료가 보관된 5호기의 경우 지난 16일 수조의 온도가 전날보다 5도C 오른 63도C를, 876개의 연료가 보관된 6호기는 전날보다 4도C 높은 60도C 기록했다.
도쿄전력은 이대로 수온 상승이 계속될 경우 5, 6호기도 3, 4호기와 같이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보고 냉각기능 정상화를 위해 대책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