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민주당 민노당 등 일부 야당과 시민 · 좌파 환경단체가 일제히 원전정책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고리 원전 1호기 가동 중단, 신규 원전 포기 주장까지 나오는 것을 보면 사실상 원전을 폐쇄하라는 얘기나 다름없다. 한마디로 무책임한 주장이다. 2010년 말 기준으로 국내 발전량의 31.1% 를 차지하는 원전의 대안이 과연 무엇인지 묻고 싶다.

야당과 환경단체들은 원전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높이면 된다고 말한다. 하지만 투자비용 대비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주력 에너지가 되기에는 한계가 분명하다. 더구나 소요 면적이 광범위한 등 원전보다 결코 친환경적이지도 않다. 이 점은 그들도 잘 알 것이다. 에너지 정책은 기후변화 에너지 안보까지 감안해 결정돼야 한다. 반핵운동의 상징 그린피스 핵심관계자가 원전의 현실적인 필요성을 인정했던 것도 그렇고, 구 소련의 체르노빌 사태에도 불구하고 원전이 에너지 대안으로 선택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야당과 좌파 환경단체들은 해외 일부 국가들이 원전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에 들어갔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과장된 얘기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때문에 원전 자체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한 나라는 아직까지 단 한 곳도 없다. 원전 에너지 비중을 장기적으로는 59%까지 확대할 계획인 우리로서는 특히 원전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번 일본 사태를 오히려 원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객관적으로 조사해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알리고, 결과에 따라 안전기준을 강화하는 등 합당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신뢰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능 공포를 증폭시키는 일부 언론의 보도 역시 문제다. 그렇다면 X-레이도 CT촬영도 하지 말아야 하고 비행기도 타지 말아야 한다. 원전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편승해 대안도 없이 원전을 백안시하는 일이 없도록 국가적 리더십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